코스피, FOMC 앞 외인·개인 매수에 2,340선 안착...삼성전자, 6만선 하회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코스피지수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하루 앞두고 기대와 경계감이 상충하며 2,340선 위에서 머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9시 쯤 북한이 동해 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도 전해지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을 보이며 코스피지수는 장초반 하락 반전하기도 했다.
2일 코스피지수는 오전 10시 40분 기준 전 거래일보다 8.69포인트(0.37%) 오른 2,343.91에 거래되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9.17포인트(0.39%) 낮은 2,326.05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572억원과 532억원어치를 사들이고 있고, 기관은 2139억원을 팔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8원 오른 1,420.0원에 출발한 뒤 장 초반 1,410원대 후반에서 등락하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24% 내려갔고, 스탠더드앤드푸어(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0.41%와 0.89% 밀려났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앞두고 일제히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이날부터 이틀간 일정으로 진행중인 11월 FOMC 정례회의 경제지표, 기업 실적 등을 주시했다.
종목에서 구글 알파벳과 아마존은 각각 4.27%와 5.52% 급락했고 넷플릭스는 1.76% 하락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1.75%와 1.5% 빠졌다. 반면 마이크론은 1.4%, 엔비디아 0.3%,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0.77% 모두 올랐다.
정다운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하락 마감했다"며 "나스닥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장 초반 긍정적인 기업실적과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 기대가 지속되며 상승했으나, 채용공고가 높게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와 연준 속도 조절론 기대가 둔화하며 하락 전환했다"고 언급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은 역사적 저점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이는 업황을 과도하게 반영했다며, 메모리 반도체 업황 부진은 4분기에도 지속되겠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선두업체로서의 경쟁력이 잘 드러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증권가는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NH투자증권(005940)은 기존 6만7000원에서 7만2000원으로, 다올투자증권은 6만8000원에서 6만9000원으로 높였다.
같은 시각 삼성전자(005930)는 0.17% 밀린 5만9900원에,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13% 오른 57만5000원에, SK하이닉스(000660)는 1.43% 오른 8만5100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 외 시총 최상위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1.36%)와 삼성SDI(2.63%), LG화학(0.86%), 삼성전자우(0.56%), 현대차(0.61%), 기아(0.90%) 등은 내려가고 있다. NAVER(3.23%)와 셀트리온(0.54%), 카카오(3.35%)는 오르막길을 걷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9포인트(0.14%) 내린 699.06에 거래되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2.65포인트(0.38%) 낮은 697.40에 출발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26억원과 703억원 순매도하고 있고, 개인은 1511억원 순매수하고 있다.
시가 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2.94%)과 엘앤에프(3.41%), HLB(1.03%), 에코프로(3.12%), 천보(1.42%), 리노공업(0.94%)는 내림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88%)와 카카오게임즈(0.38%), 펄어비스(2.28%), 셀트리온제약(0.60%)는 오르고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늘 국내 증시는 최근 단기 랠리로 인한 2,300선 돌파에 따른 일부 차익실현 물량 출회 속 11월 FOMC 경계심리 등으로 인해 약세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 연구원은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등 주요 지수 산출업체에서도 외국인 투자자 차별 및 제한 여부와 자본 유출입 용이성, 정부 개입과 관련된 제도의 안정성을 집중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물론 일주일 혹은 한달 내에 빠르게 일어나는 일은 아닌 만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외국인 수급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