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170508089332
핫이슈

프랑스의 선택 ‘마크롱’, 3대 일자리 정책 주목

글자확대 글자축소
권하영
입력 : 2017.05.08 16:38 ㅣ 수정 : 2017.05.08 09:00

▲ 7일(현지시간) 프랑스 대선 결선에서 당선이 확정된 ‘에마뉘엘 마크롱’ ⓒ 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권하영 기자)
 
프랑스 대선 결선서 중도·친기업 성향 ‘마크롱’ 당선
 
7일(현지시간) 프랑스 대선 결선에서 중도 성향의 신당 앙마르슈(전진)의 에마뉘엘 마크롱(39) 후보가 극우정당인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펜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마크롱은 전직 투자은행가 출신으로, 자유 시장을 강조하는 친기업적 정치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다. 프랑스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의 기록도 세웠다. 
 
시장친화적인 마크롱이 당선된 것은 프랑스 사회 내 ‘경제 살리기’에 대한 요구가 그만큼 강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프랑스의 실업률은 지난해 기준 10.1%를 기록해 영국(4.9%)과 독일(4.1%)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실업률을 보였다. 이 밖에도 프랑스는 1%대의 낮은 경제성장률과 높은 재정적자 규모로 현재까지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이 같은 경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마크롱의 해법은 ‘일자리 창출’로 압축된다. 그 구체적 방안은 3가지이다.  ‘법인세 인하’, ‘공공부문 일자리 감축’, ‘민간부문 일자리 증대’ 등이다.

방만한 공공 지출을 줄이고 민간 일자리를 창출해 국가경제를 견인하겠다는 것이다. 주로 기업에겐 당근을 주고 공공부문엔 채찍질을 하는 정책으로 평가된다.  
 
 
① 법인세 파격 인하 등 친기업 정책으로 자국 내 투자 유도
 
마크롱은 대선 기간 대표적인 경제 공약으로 법인세 인하를 약속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자국 내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의도다. 기업 투자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일자리가 늘어나고 내수가 회복될 것이라는 시장논리를 전면에 내세운 것이다.  
 
마크롱은 현행 33.3%의 법인세를 25%까지 내리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법인세 평균치가 25%인 것을 볼 때, 프랑스의 법인세는 주변국들과 비교해서도 높은 편이다. 마크롱은 또한 부유세(ISF)를 상속 부동산에만 국한할 것, 노동시간은 현행 주 35시간을 유지하되 기업 단위에서 탄력적으로 운영할 것 등 여러 친기업적 공약을 제안하기도 했다.
 
마크롱은 앞서 사회당 정권의 경제장관 재임시절 이미 과감한 규제개혁을 추진한 바 있다. 기업 규제와 노동 시간 및 해고 규정을 완화하는 이른바 ‘마크롱 법’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경제정책 또한 규제완화 및 노동유연화를 중심으로 하는 ‘마크롱 법’의 정책목표와 궤를 같이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증권업계는 실제 마크롱의 당선과 함께 세계증시에서 투자자금이 유럽시장으로 빠르게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마크롱의 대선 결선 승리 소식이 전해지자 유럽의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유로 환율은 한때 1.1023달러 수준까지 치솟기도 했다.
 
 

▲ (자료=뉴스투데이)


 
공공부문 일자리 12만 개 감축…재정적자 축소해 71조원대 재원 확보
 
마크롱은 대선 공약으로 향후 5년간 공공부문에서 12만개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재정 지출을 축소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 동력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프랑스의 공공부문은 국민총생산(GDP)의 57%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지나치게 비대한 공공부문이 프랑스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주장은 계속해서 있어 왔다. 또한 프랑스의 높은 재정적자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현재 프랑스의 재정적자 규모는 GDP의 38%로 유로존 평균(15%)의 두 배가 넘는다.
 
이에 따라 마크롱은 공공 일자리 축소를 통해 약 600억 유로(71조8614억 원) 규모의 재정 지출을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마크롱은 재정적자 규모를 유럽연합(EU)이 재정 안정화를 위해 합의한 기준치인 ‘GDP의 3% 미만’으로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민간 주도 일자리 증대…“실업률 7%까지 낮추겠다”
 
한편 마크롱은 공공 일자리를 줄이는 대신 민간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마크롱은 공공부문 구조조정으로 재정 지출을 줄이는 대신, 이렇게 아낀 예산을 실업률을 낮추는 데 쓰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마크롱은 이와 관련해 고용 확대를 위한 직업훈련 및 성장 산업 분야에 500억 유로(62조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즉 공공부문 감축으로 줄이기로 한 600억 유로 상당의 재원 대부분을 실질적인 고용 창출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기업의 법인세 및 각종 규제 부담을 덜어주는 것 또한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에 도움될 것이라는 게 마크롱의 생각이다. 마크롱은 지난 3일(현지시간) 생중계된 대선 TV토론에서 “중소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하며 규제 완화 및 창업 지원 등을 강조한 바 있다.
 
마크롱은 이 같은 구상을 실현함으로써 현행 10.1% 가량의 실업률을 2022년까지 7%로 낮추겠다고 주장해왔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