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투데이=강소슬 기자)
4월말~5월초 동안 최대 9일간 연휴 가능, 해외여행객 100만명 이상 예상
이달 말부터 다음 달 초까지 이틀 휴가를 쓸 경우 직장인들은 9일간 ‘황금연휴’를 즐길 수 있어 100만 명 이상의 한국인이 대거 해외여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휴는 5월 1일(월요일) 근로자의 날, 3일(수요일) 석가탄신일, 5일(금요일) 어린이날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연휴로, 2일과 4일 이틀 휴가를 쓸 경우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무려 9일 동안 쉴 수 있게 된다.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여행을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위해 쉽고 자신 있게 비행기 입국서류 작성하는 법을 준비했다.
1. 이름 작성하기
Full Name as it appears in passport / Travel document는 여권에 적힌 성과 이름을 똑같이 쓰면 된다. 이때 띄어쓰기는 필수이다. 예를 들어 이름이 홍길동일 경우 ‘Hong Gil Dong’이라 적으면 된다.
Family name / Surname / Last name은 성을 쓰면 되고, Given name(s) / First name은 이름을 적으면 된다.
2. 생년월일, 성별, 국정 등 인적사항 작성하기
Birthday / Date of Birth는 생년월일을 적는 것으로 ‘일-월-연도’(DD-MM-YYYY)순으로 적는다. 예를 들어 1990년도 6월 15일에 태어났다면 ‘15-06-90’이라 적으면 된다.
Sex는 성별을 말한다. 남자일 경우 ‘Male’라 적고, 여자라면 Female이라 적으면 된다.
Nationality는 국적을 말한다. 여권에 적힌 국적을 적으면 된다. ‘Korea’ 또는 ‘Republic of Korea’로 적으면 된다.
3. 여권정보 작성하기
Passport No. / Passport Number / Travel Document No. 는 여권번호를 적으면 된다.
Place of issue / Country of issue는 발급 국가를 적는 곳으로 ‘Korea’ 또는 ‘Republic of Korea’로 적으면 된다.
Date of issue / Expiration Date는 발급 일자와 만료 일자를 말하는 것으로 여권에 적힌 발급 날짜와 만료 일자를 적으면 된다. 이것 역시 ‘일-월-연도’(DD-MM-YYYY)순으로 적는다. 예를 들어 2011년 11월 12일에 발급을 받았고 만료 일이 10년 뒤라면 ‘12-11-2011 / 12-11-2021’이라 작성하면 된다.
4. 비행기 편명 작성하기
▲Flight No. ▲Flight/vessel No. ▲Vessel Name ▲Vehicle No ▲Arrival Flight ▲Train Number ▲Ship Name ▲Airline / Vessel No. ▲Voyage number 등은 비행기 편명을 묻는 것으로. 티켓에 적힌 알파벳과 숫자가 조합된 번호를 적으면 된다.
한국 항공사인 대한항공은 KE로(예:KE102) 시작되며, 아시아나 항공은 OZ로 (예:OZ008)로 시작된다.
5. 직업과 직장 적기
Work Occupation은 직업이나 직장명을 적으면 된다. 직장인이라면 Office Worker 또는 Salaried man이라 적으면 되고, 학생일 경우 Student, 주부는 Housewife, 무직은 Inoccuption이라 적으면 된다.
6. 주소 작성하기
Home Address / Country of Residence / Place Of Residence는 실제 거주 주소를 적으면 된다. City/Town은 도시를 적는 칸으로 서울에 산다면 SEOUL이라 적으면 되고, Country는 국가를 적는 칸으로 KOREA이라 적으면 된다.
자신이 사는 지역의 영문 주소는 포털에 ‘영문 주소 검색’을 누르면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니 비행기 탑승 전 메모해 가는 것이 좋다.
7. 비자 정보 작성하기
비자를 따로 받지 않아도 되는 나라로 여행하는 경우 쓸 필요가 없지만, 비자가 필요한 곳으로 여행을 떠날 경우 입국신고서에 비자 정보를 작성해야 한다.
Place of Visa issuance는 비자발행 도시를 말하는 것으로 비자에 기재된 도시명을 적으면 된다. 서울에서 발행받았을 경우 SEOUL이라 적으면 된다.
Visa Type은 비자의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 발급받은 비자의 유형을 적으면 된다.
Emtry Permit / Visa No. 는 비자의 번호를 말하는 것으로 발급받은 비자의 번호를 적으면 된다.
8. 방문 목적 작성하기
Purpose of Visit / Purpose of Travel 은 해당 나라에 방문한 목적을 적으면 된다.
여행일 경우 Tourist / Leisure / Holiday 등을 적으면 되며, 업무적으로 방문 했을 경우 Business / Convention / Meeting 등을 적으면 된다. 교육은 Study / Education을 취업일 경우 Employment 환승은 Transit을 적어 넣으면 된다.
9. 여행 정보 작성하기
Duration of Stay / Length of Stay 는 체류기간을 말한다. 3박 4일일 경우 4 days라 적으면 되고 일주일일 경우 1week라 작성해 넣으면 된다.
Residential Address or Hotel Name / Adress in @ / Cotact Address in the @ (@는 나라 이름)는 체류 주소를 말한다. 호텔에서 묵을 경우 호텔 주소, 친구나 친척집 등은 체류지 주소를 적으면 된다. 연락 가능한 번호를 적는 경우도 있으니 비행기 탑승 전 체류 주소와 체류지 번호는 메모해가는 것이 좋다.
10. 기타 정보 작성하기
위에 9가지가 대부분 입국서류에 나와있는 질문인데 간혹 기타 질문들을 작성해야 할 때가 있다. 기타 질문들을 마지막으로 모아봤다.
Inviting Person (Organization) / Name of host Person or Company 등은 초대인을 말하는 것이다.
Last City / Post of Embarkation befote @ / Form / Countries visited in last six days 등은 직전 도시를 말한다.
Traveling on Group Tour / Accompanying by Children 은 동반자를 말하는 것이다.
Town and country of Birth / Place of Birth / Country of Birth 는 출생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