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170228087989

삼성, 미래전략실 해체하고 ‘독립경영’ 시험대에 서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경민
입력 : 2017.02.28 16:46 ㅣ 수정 : 2017.02.28 22:19

▲ 28일 삼성전자 사옥에서 촬영한 사진. ⓒ뉴스투데이



58년만에 삼성그룹 컨트롤타워 폐지… 미래전략실장 최지성 부회장, 실차장 장충기 사장 사임

삼성직원과 경제개혁연대, '컨트롤 타워의 부재'에 대한 우려  공감?


(뉴스투데이=김경민 기자) 삼성이 28일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이하 ‘미전실’) 해체를 골자로 한  경영쇄신안을 발표했다. ‘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특별검사팀(박영수 특검)의 수사가 이날 종료된데 따른 조치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미전실의 모체를 1959년 이병철 전 회장이 만든 삼성물산 비서실로 볼 수 있으므로 58년간의 경영 틀이 바뀌는 것”이라며 “삼성그룹은 이제 계열사별 '독립 경영'이라는 새로운 시험대에 올라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쇄신안은 ▲
미전실 해체 ▲각 계열사별 대표이사와 이사회 중심 자율 경영 ▲대관업무 조직 해체 ▲대외지원금 일정 기준 이상은 이사회 또는 이사회 산하 위원회의 승인 후 집행 등을 골자로 한다. 

우선 미전실 해체에 앞서 미래전략실장 최지성 부회장, 실차장 장충기 사장은 사임했다. 나머지 직원들은 해체 후 각 소속 계열사로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미전실이 총괄하던 계열사 통합 전략 및 경영은 각 계열사들의 몫으로 분담된다. 전문경영인을 중심으로 한 이사회가 해당 계열사를 경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평소 미전실이 맡아오던 대관업무는 아예 폐지하고 필요한 정부부처와의 협의는 각 계열사가 자율적으로 시행한다.

대외지원에 대해서는 후원금 및 사회공헌기금을 심사하는 ‘심의회의’를 설치하여 투명성을 확보한다. 천만 원 이상의 지원금은 '심의회의'를 거쳐서 지원될 전망이다.


미전실 해체를 앞두고 삼성 직원들 관련 대화 자제하면서도 '그룹 질서' 혼란 우려

기자는 미전실 해체를 앞두고 미전실 사무실이 위치한 서초동 삼성사옥을 방문했다. 분위기는 평소와 다른 점이 없었다. 점심시간이 되자 삼성 직원들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각자 식사를 하러 나왔다.

삼성 직원들은 서 너명씩 무리를 지어 인근의 음식점으로 향했다. 이들은 식사 중에 미전실 해체를 대화 소재에 올렸다. “오늘 결정된다고 들었다”,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등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하지만 분위기는 ‘긴박’하기보다는 매우 ‘심드렁한’ 느낌이었다.

몇 명의 삼성 직원들에게 인터뷰를 시도했지만, 그들은 매우 경계하는 표정으로 대화를 뿌리쳤다. 서 너차례 시도한 끝에 간신히 익명을 조건으로 한 삼성직원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이 직원은  “당분간은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이다. 걱정되는 것은 기업 전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의 부재가 신규사업 및 전략 추진, 투자 등을 어렵게 한다는 점이다”면서 “사내에서도 그룹 질서가 무너질 것을 우려하는 임직원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라고 분위기를 전달했다.

흥미로운 것은 삼성에 비판적인 기조를 유지해온 시민단체인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상조 한성대 교수)도 삼성 직원들과 비슷한 ‘걱정’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개혁연대는 28일 발표한 논평에서 “그것(미전실 해체)은 그룹 해체에 다름없는 것으로, 형용모순이다.”라면서 “삼성전자의 경쟁우위 요소 중 하나가 삼성SDI·삼성전기 등으로부터 소재·부품을 집중 공급받는 수직계열화 체제라는 것은 일반적 상식인데, 이들 계열사가 아무런 조정 기능 없이 독립 경영하는 상황은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삼성그룹의 미래전략실 해체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완전히 없앤다는 것이 아닐 것으로 본다“면서 “현재의 미래전략실 기능을 일부 축소하고 분할하여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 등의 핵심 계열사 내부로 이전하는 방식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이 단체는 또  “궁극적인 해결책은 지주회사 전환이겠지만,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된 상황에서는 당분간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컨트롤타워 기능은 필수불가결하다”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제개혁연대의 공식 입장이 무조건적으로 컨트롤 타워를 긍정한 것은 아니다. 이 단체는 “컨트롤타워를 숨기지 말고 투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다”면서 “문제 해결의 핵심은 컨트롤타워의 잠정적 판단을 각 계열사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하고 승인하는 절차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