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170224087905
직장인25시

사상최대 ‘부채와 부동자금’ 사이에 낀 4050세대

글자확대 글자축소
정진용
입력 : 2017.02.24 11:05 ㅣ 수정 : 2017.02.24 11:05

▲ 금융부채에 허덕이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뉴스투데이DB


(뉴스투데이=정진용기자)

제2금융권 대출 늘면서 가계부채 1344조원 돌파

돈쓸 곳 많은 4050세대 가계부채 대책마련 시급


#. 대기업 직장인 K씨(46)는 요즘 속이 쓰리다. 지난해 귀속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최근 확인하고 120만원 가까운 세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는 연말정산 결과를 받았기 때문이다. 외벌이인 K씨는 아이들 과외비에, 양 부모님 용돈 등 빠듯한 가계부를 뻔히 알고 있기에 2월 월급에서 120만원이 빠져나간다는 얘기를 어떻게 꺼낼까 고민하고 있다.

K씨는 “주위를 둘러보면 빚 때문에 고생하는 동료와, 여윳돈을 어떻게 굴릴까 고민하는 동료가 나뉜다”면서 “굴릴 여윳돈은 없지만 그렇다고 갚아야 할 빚이 많지 않은 그래도 나는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한다.


가계부채가 1344조를 돌파하면서 사상최대 규모로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단기 부동자금 규모 역시 1000조를 넘어서는 등 우리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직장인들은 빚더미와 돈더미 중 전자에 더 가까운 경우가 많아 양극화의 양지 보다는 그늘을 실감하고 있다.

◇ 투자처 못찾고 떠도는 단기부동자금 1000조원 돌파=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투자처를 찾지 못해 시중에 떠돌고 있는 단기부동자금은 지난해 말 1000조원을 넘어섰다. 단기부동자금이 1000조원을 웃돈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1일 금감원 대강당에서 열린 2017년도 자본시장 부문 금융담독 업무설명회에서 "작년 말 시중 단기부동자금 규모가 약 1010조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많은 여윳돈들이 단기수익을 좇아 고수익상품으로 이동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9일까지 대표적인 단기투자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에 21조9355억원이 유입됐다. 반면 증시 대기성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은 2742억원 감소하면서 투자자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MF는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해 얻은 수익을 돌려주는 초단기금융상품이다. 환매수수료 없이 수시입출금이 가능하고 하루만 돈을 예치해도 운용 실적에 따른 이익금을 받을 수 있어 여윳돈을 굴리려는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가계부채도 사상 최대인 1344조 돌파=여윳돈을 굴릴 곳을 찾아 고민하는 사람보다는, 가계부채에 허덕이는 사람들은 더 많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가계부채) 잔액은 1344조3000억원으로, 한은이 관련통계를 작성한 2002년 이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 한해 동안에만 가계부채는 141조2000억원이 늘었다.

가계부채는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등 금융권에서 받은 가계대출(1271조6000억원)과 카드 빚 등 결제하기 전 카드 사용액(72조7000억원)을 합한 것이다.

총인구 수(5144만명)를 고려하면, 국민 1인당 2613만원의 빚을 지고 있다는 얘기다. 4인 가구 기준으로는 1억원이 넘는다.

가계부채의 더 큰 심각한 문제는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 대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데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42조6000억원이 늘었다. 이는 2015년 증가폭(22조4000억원)의 2배에 가깝다. 은행들이 가계부채의 위험을 관리한다며 돈줄을 죄기 시작하자 제2 금융권으로 시선을 돌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얘기다.

◇ 이자 더 오르면 파산위험에 놓인 한계가구 빚 줄일 대책마련 시급=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가처분소득 대비 윈리금상환비율이 40%를 넘는 한계가구의 비율이 급증하면서 많은 직장인들에게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계가구는 2015년 132만2000가구에서 지난해 150만가구로 급증했다. 1년 사이에 약 20만 가구가 더 늘어난 것이다. 2012년의 111만2000가구에 비하면 박근혜 정부 들어 35%나 증가한 것이다.

금융전문가들은 2014년 하반기 이후 실시된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 한은 금리인하 등 경기부양책으로 돈을 빌리기 쉬워지면서 가계부채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의 소비심리 위축과도 맞물려 있다. 가처분소득 중에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다른 곳에 소비할 돈이 없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총액이 늘면서 원리금상환비율이 40%를 넘긴 가구가 많이 증가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가계부채 증가와 한계가구 증가문제는 향후 정치권에서 핵심과제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가계부채와 한계가구 급증은 경제위기의 전조 현상일 수 있다”며 “빚을 내서 집을 사라는 정부의 잘못된 시그널이 이 같은 현상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