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에 들어와 있는 유학생 중 70%이상은 중국인 유학생이다. 한중간에 갈등이 고조되면서 중국정부가 유학생에 대한 규제에 나설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건국대가 개최한 중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에 많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몰려들고 있다.ⓒ뉴시스
공자학원 비자발급 둘러싸고 한중 양측 갈등 고조
대학들, 중국인 유학생 규제로 이어질까 촉각
(뉴스투데이=정진용기자) 한국정부가 국내 공자학원에 근무하는 중국인 선생들에게 E2비자(회화지도) 발급을 사실상 중단하고<▶뉴스투데이 1월3일자 단독기사 참조>, 중국정부가 이에 반발하면서 양국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대학들은 중국정부가 한국으로 공부하러 오는 중국인유학생들에 대한 추가규제에 나설 가능성을 제기하며, 양국간 비자갈등이 대학가로 불똥이 튈까 크게 우려하고 있다.
최근 중국 길림, 요녕, 흑룡강 등 동북3성을 방문하고 돌아온 수도권 대학 유학생 유치담당자는 7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지 대학관계자들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양국간의 갈등고조로 인해 중국인 유학생 파견이 중국정부의 규제를 받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였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고 있지 않지만, 한국관광 여행객까지 규제할 정도로 사회 전반에 걸쳐 규제의 칼을 쥐고 있는 중국정부의 성향을 볼 때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면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상치 않은 한중 갈등=중국 외교부는 최근 공자학원 비자문제에 대해 언급을 한 적이 있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3일 정례 브리핑에서 공자학원은 양국 대학과 교육기관 간에 협의를 통해 설립돼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운영된다면서 "한국에 있는 공자학원은 모두 한국 각 대학의 요청으로 설립됐다"며 운영에서 편의를 봐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자학원 강사들의 비자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 측의 요청으로 선택된 인원들이 파견되기 때문에 비자발급과 거류 수속 문제를 해결해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실 한중간에 갈등을 먼저 촉발한 측은 중국이다. 중국은 한국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공식 발표한 이후 일관되게 사드 배치에 반대하며 노골적인 유형무형의 압박을 지속해 왔다.
상용복수비자 발급에서 롯데 등 현지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세무조사, 한류 스타의 광고출연을 포함한 한류콘텐츠 금지령, 이른바 한한령((限韓令) 조치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 같은 조치는 한국을 찾는 중국인관광객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1월 방한 중국인관광객의 성장률은 전년 동기대비 3%대에 머물렀다. 바로 직전인 지난해 12월 중국인관광객 성장률이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인 셈이다.
관광업계에서는 올해 2월 춘제 특수도 실종된 것을 고려하면 2월중 중국인관광객 수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학들, 중국 유학생 규제로 불똥 튈까 촉각=중국정부의 규제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는 국내 대학들은 갈등이 고조될 경우 중국인 유학생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를지도 모른다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교육부 정보공시에 따르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2016년 4월 기준 10만4262명에 달한다. 학부(전문대학 포함)생이 3만8944명으로 전체의 37.6%를 차지하고 있고, 대학원생 2만4160명(23.2%), 어학연수생 2만6976명(25.9%), 기타연수생 1만4182명(13.6%) 등의 순이다.
학부생의 경우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이 2만7708명으로 절대다수인 전체의 71.1%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은 고려대의 경우 3808명(학부생 1564명, 어학연수생 2244명)에 달하고, 연세대는 2584명(학부 1043명, 어학 1541명), 성균관대 2496명(학부 2092명, 어학 404명) 등으로 전체 입학정원의 23.2~33.8%에 이르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 온 유학생이다.
서울소재 유학생관련 대학관계자는 “대학마다 다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인 유학생수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중국정부가 한국으로 공부하러 가는 유학생 규제에 나설 경우 거의 모든 대학들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