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투데이=이재영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서 ‘감축’ 48.6% ‘비슷’ 40%로 나타나
대기업 10곳 중 5곳은 올해 신입 및 경력사원 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규모 확대를 추진 중인 대기업은 10 곳중 1곳에 그쳤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6년 500대 기업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사상 최악의 실업난에 시달리는 청년층이 더 가파른 고용절벽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국내 대기업 210개사 중 48.6%는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한 신규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한다’고 밝혔다.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기업은 40%, ‘증가한다’는 기업은 11.4%로 집계됐다.
2015년 조사와 비교할 경우, 신규 채용 규모가 ‘감소한다’는 응답률은 12.8%포인트 늘어난 데 비해, 증가한다는 응답률은 8.2%포인트 줄었다.
기업 규모 적을수록 채용규모도 줄어들어
기업 규모로 보면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보다 301~500위 기업들이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유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301~500위 기업은 '감소'(49.4%) 또는 ‘비슷’(44.3%)하다는 응답률이 90%를 넘어섰다. ‘증가’한다고 대답한 기업은 6.3%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300대 기업의 경우 지난해보다 ‘감소’(48.1%) 또는 ‘비슷’(37.4%)하다는 응답률이 85.5%로 나타나 301~500위 기업들보다 4.5%포인트 정도 낮았다.300대 기업의 ‘증가’한다는 응답률은 14.5%를 기록했다.

국내외 경기 불황 및 회사상황 악화가 채용 감축 주된 이유
신규 채용을 축소하는 기업의 52%는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를 그 이유로 들었다. 이어 ▲회사의 내부 상황이 어려워 신규채용 여력이 감소(32.4%) ▲정년연장으로 퇴직자가 줄어 T/O가 부족해서(9.8%) 등도 꼽혔다.
신규 채용을 늘리는 대기업의 경우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인재확보 차원에서(62.5%)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이어서(29.2%)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이와 관련해 “올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중국 경기 둔화, 우리나라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등으로 국내외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취업시장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일부 취준생들 대기업 중복합격, 취업시장 양극화 심각
상반기에 대졸 최종 합격자가 입사를 거절하거나 포기한 경우가 있다고 답한 기업은 61.9%로 집계됐다. 그 이유로는 ‘다른 기업에 중복 합격해서’(80.8%)가 압도적이었다. 이어서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8.5%), ‘근무지역 및 직무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절벽에 직면한 다수 청년들은 대기업 입사에 목을 매고 있는 데 비해, 경쟁력이 높은 일부 청년들은 대기업을 골라서 입사하는 ‘취업시장의 양극화’가 극심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중 이공계 졸업생 비중이 48.7%로 지난해 동기 58.6% 대비 10% 포인트 가량 감소한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 같은 수치는 대기업의 이공계 선호현상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 현상인지 여부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