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22∼36세 서울 청년 취업자 중 공무원, 복지 및 고용안정에 만족
(뉴스투데이=박희정 기자)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직원인 청년이 임금이 높은 기업체에 종사하는 청년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원장 김수현)은 27일 서울인포그래픽스 ‘서울 청년취업자 직장 만족도 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이 만 22∼36세 청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 결과에서 서울 관련 정보를 재분석한 내용이다.
※ 표1. 서울 청년취업자 성별 월평균 임금 (단위 : 만 원)
|
남자 |
여자 |
전체 |
월평균 임금 |
261.8 |
211.6 |
239.4 |
주 : 무응답(응답거절, 모름)은 제외했으며 가중치 적용
원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4), 청년패널조사
서울 청년 취업자의 월평균 임금은 외국인 회사 취업자가 291만 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법인단체 246만원, 민간회사·개인사업체 240만 6000원 등 순이었다. 공공기관 취업자는 223만 9천원, 정부부처·지자체 취업자는 208만 5천원으로 기업 취업자보다 낮았다.
하지만 직업별 만족도를 조사에서 그 순위가 역전됐다. 정부부처·지자체 취업자의 만족도는 3.71점(5점 만점)으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높았다. 공공기관이 3.67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법인단체 취업자 만족도는 3.58점, 외국인 회사 취업자 3.57점, 민간회사·개인사업체 취업자 3.54점 등의 순이었다.
공무원 청년들의 높은 만족도는 복지 및 고용안정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정부부처·지자체 취업자는 세부적으로 복리후생(3.87점)과 고용안정(3.85점) 분야의 만족도가 높았다.
※ 표2. 서울 청년취업자 회사유형별 월평균 임금 (단위 : 만 원)
|
민간회사 또는 개인 사업체 |
외국인회사 |
공공기관 |
(재단, 사단) |
정부부처 및 지자체 |
특정회사나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
전체 |
월평균 |
240.6 |
291.1 |
223.9 |
246.0 |
208.5 |
188.9 |
242.6 |
주 : 무응답(응답거절, 모름)은 제외했으며 가중치 적용
원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4), 청년패널조사
민간회사 및 개인사업체 종사 청년, ‘인간관계 만족 임금 불만족’
반면에 전체 만족도 서열 최하위인 민간회사 및 개인사업체에 종사하는 청년은 따뜻한 인간관계에 만족하지만 낮은 임금에 불만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인간관계 3.,65점, 임금·소득 분야 3.17점의 만족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남성의 월평균 임금이 261만 8천원으로 여성(211만 6천원)보다 50만 2천원(19%)이 많았다. 그러나 만족도는 남성이 3.57점, 여성이 3.55점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 표3. 서울 청년취업자 회사유형별 만족도 (단위 : 점)
|
민간회사 또는 개인 사업체 |
외국인 회사 |
공공기관 |
(재단, 사단) |
정부부처 및 지자체 |
특정회사나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
전체 |
전체 |
3.54 |
3.57 |
3.67 |
3.58 |
3.71 |
3.54 |
3.56 |
업무내용 |
3.58 |
3.53 |
3.64 |
3.69 |
3.62 |
3.50 |
3.59 |
사회적 공헌 |
3.31 |
3.29 |
3.87 |
3.45 |
3.83 |
3.10 |
3.36 |
자기발전 |
3.41 |
3.44 |
3.72 |
3.40 |
3.47 |
3.52 |
3.43 |
임금/ |
3.17 |
3.33 |
3.31 |
3.13 |
3.28 |
3.07 |
3.18 |
고용안정 |
3.53 |
3.44 |
3.87 |
3.60 |
3.85 |
3.05 |
3.55 |
자율성 |
3.57 |
3.60 |
3.55 |
3.51 |
3.49 |
3.74 |
3.57 |
통근거리 |
3.33 |
3.18 |
3.57 |
3.29 |
3.34 |
3.48 |
3.34 |
장래성 |
3.26 |
3.32 |
3.71 |
3.37 |
3.27 |
3.12 |
3.29 |
근로환경 |
3.51 |
3.53 |
3.76 |
3.61 |
3.48 |
3.17 |
3.52 |
인간관계 |
3.65 |
3.65 |
3.72 |
3.69 |
3.61 |
3.49 |
3.65 |
인사고과의 공정성 - 임금근로자 - |
3.58 |
3.51 |
3.68 |
3.47 |
3.72 |
3.87 |
3.58 |
복리후생 |
3.42 |
3.78 |
3.73 |
3.46 |
3.87 |
3.92 |
3.47 |
원자료: 한국고용정보원(2014), 청년패널조사
*2014년 8월 4일 부터 11월 30일까지 만 22~36세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며, 서울 청년취업자 표본 수는 907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