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 육아휴직 비율 확대 등 ‘양성평등정책 시행계획’ 확정
(뉴스투데이=오지은 기자) 정부가 앞으로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을 늘린다고 밝혔다. 맞벌이를 하며 집으로 또 다시 출근해야 하는 워킹맘의 고충을 덜기 위해서이다.
정부는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을 지난해 5.6%에서 올해 6.7%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양성평등위원회에서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위해 남성의 육아 참여를 적극 지원할 방침을 세웠다.
정부는 우선 ‘워킹맘·워킹대디 지원사업소’를 6곳에서 82곳으로 늘려 일·가정 양립의 고충 상담과 제도 안내 등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육아휴직의 부담을 덜기 위해 고용복지센터 등을 중심으로 대체인력 종합지원체계를 구축, 대체인력 채용 지원을 지난해 1000명에서 올해 5000명, 내년까지 1만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남녀 고용격차 해소를 위해 여성창업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연계해 창업훈련을 지원한다.
과학기술분야 여성 진출 지원을 위해 ‘여성 공학인력 양성 지원’ 사업을 신규로 전국 10개교 내외에 50억원을 지원하고, 중소·중견기업 인력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시 여성연구인력을 30% 쿼터제로 부여하기로 했다.
공공부문에서도 여성 참여 확대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여성인재를 7만8000명에서 9만3000명으로 확충하고, 여성인재 데이터베이스(DB)와 여성인재 아카데미를 연계해 맞춤형 프로그램도 제공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여성을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안심귀가서비스 및 성폭력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더불어 농어촌 등 분만취약지역에 공공형 산부인과를 기존 31개소에서 34개소로 늘리고, 경력단절 전업주부 등의 국민연금 보험료 추후납부를 허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