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작전용 공격·정찰 드론 도입 추진…올해 하반기 기종 결정
![image](http://cdn.news2day.co.kr/data2/content/image/2025/02/03/.cache/512/20250203500138.png)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북한이 이스라엘제 모방 짝퉁 드론, 골판지 자폭 드론 등 신형 드론 10종을 공개하며 생산 및 부대 배치를 진행 중인 가운데, 우리 군도 특수작전용 공격 및 정찰 드론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은 특수작전용 대물타격 및 정찰 무인항공기, 정찰 로봇 등을 국외구매 방식으로 도입하며, 올해 하반기에 기종을 결정할 예정이다.
특수작전용 대물타격 무인항공기는 내년까지 296억원이 투자되며, 특수임무여단의 특수타격 작전 간 원거리에서 증원 가능한 적 기갑 및 기계화 부대를 정밀 타격하는 용도로 확보한다.
후보 기종으로는 미국 에어로바이런먼트의 ‘스위치블레이드 600’과 이스라엘 유비전의 ‘히어로 120’ 등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기종 모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성능이 입증된 드론이다.
특수작전용 정찰 무인기는 내년까지 136억원이 투입되며, 특수타격작전 간 감시·정찰능력을 보강하며 자체적으로 화력을 유도해 적 증원부대에 대한 지연 및 차단을 지원하는 무기체계다.
보병이 직접 휴대할 수 있는 대물타격 무인항공기와 정찰 무인기를 조합하면 후방의 아군과 멀리 떨어진 특수부대가 수행할 수 있는 작전의 범위와 파괴력이 현격히 확대될 전망이다.
방사청은 또 특수작전용 정찰 로봇을 국외 구매로 도입하는 사업도 내년까지 69억원을 들여 추진할 방침인데, 정찰 로봇은 특수타격작전 중 건물 내부 소탕 시 실내 및 지하시설에서 전장 상황을 인명 손실 없이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11월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4'를 개최해 다양한 종류의 무인기 10종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고무줄로 날개와 동체를 고정한 것으로 보이는 골판지 드론도 모습을 드러냈는데, 이 드론은 저비용·저피탐 무기로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 자폭 드론까지 개발해 벌떼 드론으로 운용할 가능성도 있다.
유 의원은 “북한이 세계 드론 개발 동향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드론 전투사례를 분석해 다양한 드론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며 “우리 군의 드론 전력화는 북한에 비해 뒤처진 면이 있고 현재는 국외 도입이지만 국내 대량 생산 체계 구축을 통해 북한의 드론 전력을 압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