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에 고령노동자마저 귀해지는 일본
[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의하면 일본 인구는 2020년 기준으로 총 1억 2615만 명이지만 50년 후인 2070년이 되면 1억에 한참 못 미치는 8700만 명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이 중 65세 인구비율은 2020년 기준 28.6%에서 계속 증가하여 2070년이면 38.7%에 달할 전망이고 반대로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은 2명 중 1명꼴인 52.1%로 쪼그라들게 된다.
먼 미래인 2070년을 고민하지 않더라도 당장의 인력부족도 심각한 탓에 최근에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종업원이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관리직에서 제외시키는 임원정년 제도를 폐지하거나 정년퇴직 연령 자체를 끌어올리는 등 시니어 세대들을 더욱 오래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고령자들의 근로의욕도 여느 때보다 높은데 대형 취업포털 리크루트가 전국의 60~74세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70% 이상이 ‘70세 이상까지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이토록 오래 일하려는 이유는 ‘생계유지’가 41.9%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건강 유지’(38.0%), ‘용돈벌이’(34.7%), ‘사회와의 단절 방지’(32.5%) 등이 있었다.
현재 일본의 고연령자 고용안정법은 기업들에게 65세까지의 고용확보를 의무화하고 있다. 때문에 보통 만 60세에 정년을 맞이한 후에는 사측과 고용계약을 다시 체결하는 재고용이나 그대로 근무를 이어가는 근무연장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는데 2021년부터는 법이 개정되어 기업 측은 근로자가 70세까지 취업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함을 의무화하였다.
기업들 역시 신규 인력확보가 여의치 않자 고령자들에 대한 제도를 속속 개선하기 시작했는데 대형 건설회사 다이와하우스(大和ハウス工業)는 직원이 60세가 되면 관리직에서 제외하고 급여를 삭감하는 임원정년 제도를 2022년부터 폐지했고 오사카 가스(大阪ガス) 역시 내년부터 임원 정년 제도를 폐지하고 직원의 정년퇴직 연령을 60세에서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올릴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와 관련해 다이와하우스의 요시이 케이치(芳井 敬一) 사장은 인력부족을 메우는 것이 현재의 제 1목표이며 기업의 존속이 사람에게 달려있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중소기업은 중소기업대로 대기업과는 다른 사정으로 노년층의 고용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대기업과 달리 젊은 신입사원 자체도 희귀한 중소기업들에게는 오랜 기술과 경험을 가진 시니어 세대의 가치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오사카 상공회의소가 올해 7월에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현황조사에서는 약 60%의 중소기업들이 별도의 정년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소기업의 인력부족은 이미 만성적이기 때문에 대기업처럼 명확한 정년 제도를 갖추지 않은 채 건강하다면 연령에 상관없이 인력을 활용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오사카 상공회의소 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시니어 세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따른 부작용 역시 존재한다. 먼저 임금이 높은 사원을 계속 고용하기 때문에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고 조직 자체의 고령화로 인해 가뜩이나 아날로그적인 일본 기업들이 시대흐름에 더욱 뒤처질 우려가 있다.
여기에 사무실을 가득 채운 고령의 사원들로 인해 젊은 사원들의 승진이 늦어지고 근로의욕이 저하되는 것도 기업들에게는 인재유출 부작용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이미 일본을 능가하는 고령화 속도를 보이는 한국 기업들은 좋든 싫든 일본 기업들의 대응과 결과를 관찰하며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