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플랫폼' 재추진…2금융권, 고객 뺏길까 전전긍긍
금융위, 내년 5월 대환대출 플랫폼 출범 계획
저축은행, 고객 이탈 우려‧차주 유입 가능성 고민
카드업계, 중도상환수수료 없어 이탈 규모 클 듯
"2금융권 전반서 우려…건전성 악화할 수 있어"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내년 5월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2금융권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객이 1금융권으로 대거 이탈할 가능성이 큰 데다 플랫폼 수수료 부담 등의 문제 때문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14일 "금융소비자가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환대출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2023년 5월 중 운영 개시를 목표로 대출이동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환대출이란 금융사가 소비자의 대출금을 대신 상환하고 새로운 대출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금융위는 당초 지난해 대환대출 플랫폼을 출범할 계획이었으나 논의 과정에서 은행 등 금융사들이 핀테크에 종속될 것을 우려해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무산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기준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대출금리가 상승해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고자 도입이 재추진됐다.
금융위는 금융사 간 온라인 대환대출 이동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사 간 상환절차를 금융결제원 망을 통해 중계하고 전산화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은행,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탈사)로부터 대출받은 소비자가 손쉽게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다만 금결원 망을 이용하지 않고 신용심사 방식이 상이한 대부업권과 관련 대출 규모가 미미한 보험업권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2금융권은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시 상대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은 차주들이 1금융권으로 이탈하고 위험부담이 큰 저신용 차주만 남게 돼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저축은행업계는 개인대출 신용평가모형(CSS)이 은행마다 달라 업계 양극화가 커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대형사와 비교해 CSS가 고도화되지 않은 중소형사는 고객 이탈 우려가 더욱 크다.
다만 카드사, 캐피탈사 등 타 업권에서 고객이 유입될 가능성도 있어 실익을 따져봐야 한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출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인 만큼 차주들이 중도상환수수료와 등을 감안해 따지지 않을까"라면서도 "상대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아 낮은 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주들은 상당 부분 1금융으로 이탈할 수도 있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타 업권의 차주들이 유입될 수도 있다"면서 "전국 79개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의 CSS를 전부 파악하고 있지는 못해 도입 방안의 뚜껑을 열어봐야 실익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업계는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전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조달비용 부담이 심화하는 가운데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되면 금리경쟁력이 높은 1금융권으로 고객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고객 이탈이 현실화하면 여전업계는 조달금리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수익성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카드채 AA+ 등급 3년물 금리는 5.974%다. 이는 올초 2.420%와 비교해 약 2.5배 가량 높은 수치다. 이달 7일에는 6.088%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기도 했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여전채 금리 상승으로 장기카드대출(카드론) 등 카드사 대출상품 금리도 높아지고 있다"면서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되면 차주들이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시중은행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커 카드업계뿐 아니라 2금융권 전반에서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조달비용 부담이 심화하는 가운데 대출금리 경쟁에 나서기도 쉽지 않다"면서 "카드사의 건전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대안 마련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