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부동산PF 사업성평가 강화에 적자 확대…업계 "PF 우려 과도"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저축은행업계가 올해 상반기 3804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이 3배 가까이 확대된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적립이 늘어나면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업계는 손실흡수능력은 충분해 우려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2일 저축은행중앙회(이하 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3804억원으로 전년 동기 손실 965억원에 비해 294.2%나 확대됐다. 2분기 실적만 보면 손실규모는 2261억원으로 전분기 손실 1543억원에 비해 46.5% 늘었다.
저축은행의 적자 규모가 늘어난 건 대출취급을 줄이면서 이자수익이 감소한 것과 부동산PF 사업성평가 기준 강화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5월 PF 사업성평가 기준을 강화한 바 있다. 토지담보대출, 채무보증, 새마을금고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을 포함해 기존 3단계 평가등급을 4단계로 세분화했다. 평가기준 역시 사업장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핵심 위험요인을 포함해 브릿지론 평가 기준을 신설했다.
은행과 보험사의 경우 선순위 대출 구성, 양호한 사업 포트폴리오 등 연체 및 만기연장 사례가 제한돼 PF 익스포저 규모 대비 1차 평가대상 선정 규모가 작았다. 다만 저축은행의 경우 질적 열위에 있는 토담대 비중이 큰 상황이다. 상반기말 저축은행의 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9.7%로 전년말 대비 18.8%p 상승했다.
6월말 기준 저축은행의 PF 대손충당금 적립액 규모는 2조2000억원이다. 문제는 대손충당금을 적립 규모를 더욱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유의 사업장은 고정이하로, 부실우려 등급은 회수예상액에 따라 고정‧회수의문으로 분류되는데 충당금 규제 강화로 고정은 자산의 30%, 회수의문은 75%를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정혜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30일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의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및 충당금 추가 적립이 요구된다"면서 "추가 적립에 따른 수익성 저하가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저축은행업계도 부동산PF 리스크에 따른 적자 지속을 예상하고 있다.
오화경 중앙회장은 지난달 말 진행한 저축은행업계 상반기 실적 설명회에서 "당분간 이익을 내는 것보다 방어하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나 늦어도 내년까지는 부실자산을 정리하면서 적자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 회장은 "대손충당금적립액이 3900억원 정도로 순손실 규모와 비교하면 대부분 대손충당금 증가분이 손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이 상반기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3962억원이다. 상반기 기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약 16조원으로 이 가운데 '부실우려(D등급)'을 받은 자산은 3조2000억원이다.
부동산PF 리스크에 따른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업계는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한데다 증자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 경영안정성에 이상이 없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PF리스크데 따른 충당금 적립 확대로 손실 규모가 커졌지만, 이는 추후 이익으로 환입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상‧매각을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등 자구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모든 저축은행이 법정기준인 100%를 넘는 충당금 적립률을 보이고 있다"면서 "국제결제은행(BIS) 비율도 역대 최고를 기록해 위기대응능력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저축은행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권의 부실 PF 규모가 3조원 가량인데, 이는 업권 자산규모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면서 "연체율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고, 이를 전부 회수하지 못한다고 해도 업권이 무너질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국에서는 당연히 보수적으로 볼 수밖에 없겠지만, 업권 내의 대응 능력은 충분하고 관리 가능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