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국내 증시의 공매도가 금지된 이후 개인투자자 수급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보고서를 내고 "금융위원회가 내년 6월 말까지 국내 주식시장 내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 금지를 의결했다"며 "국내 증시 내 공매도 잔고 자체는 크다고 볼 수 없었으나, 최근 거래 내 공매도 비중이 점차 높아진 탓에 변동성 확대에 미친 영향력이 컸다"고 설명했다.
노 연구원은 "공매도 금지에 따라 숏커버(공매도 잔고 청산용 매수)와 전체 거래대금 내 8~12%를 차지하던 매도 압력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며 "대차잔고는 2020~2021년 공매도 금지 때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각각 59.6%와 70.1%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내 증시의 공매도 금지 사례는 2008년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기 등 총 세 차례다.
노 연구원은 "2008년은 금융위기 전개 과정 속 지수 반등 효과를 바로 기대하기 어려웟고, 2011년과 2020년은 경기 침체를 장기간 겪지 않고 경제지표 반등을 통해 위험 구간을 빠르게 벗어날 수 있었다"며 "공매도 금지에 따른 수급 효과는 우호적 펀더멘털(기초 요건) 구간에서 두드러졌는데, 공매도 상위 5분위는 1분위 종목에 비해 상대수익률을 꾸준히 개선시켰다"고 분석했다.
통상 공매도 금지는 중장기 관점에서 선물 대비 현물(주식)의 상대적 고평가를 수반한다.
노 연구원은 "기관과 외국인은 해당 구간에서 매도차익거래도 대응하기 십상"이라며 "개인투자자 수급 의존도는 향후 더 커질 확률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어 "금리 대비 주식시장 상대 기대수익률과 유동성 환경을 고려하면 개인 수급 유입 강도는 예전보다 약할 수 있다"며 "공대고 금지에 따른 숏커버 영향력은 2주를 정점으로 약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공매도 잔고는 많은 반면 수익률 상승 폭이 비교적 작았던 종목 중심 대응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