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군침 흘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우리몫은 얼마나 될까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음에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대한 관심은 날로 커지고 있다. 특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민관 합동 '원팀 코리아'가 전후 재건사업 협력을 위해 우크라이나 현지를 직접 방문한 이후 재건사업 참여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에 23억달러(한화 약 3조700억원)를 지원한다고 발표하자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사업타당성 조사가 한창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이 본격화하면 그 규모는 얼마나 될까. 업계에서는 최대 5000억달러, 한화 650조원 이상이 될 것이란 예상을 내놓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이 지난 14일 발표한 '채워지는 반등의 조건-재건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세계은행·EU·UN·우크라이나 정부 등 공동조사단은 지난 3월 보고서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직접 피해 규모는 전쟁발발 이후 1347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2033년까지 향후 10년 간 전후 복구에 필요한 비용은 약 410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더욱이 전쟁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인 상황이어서 피해규모는 더 커질 것이 확실하며, 그에 따른 복구비용 역시 앞으로 더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들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보고서 발표 이후 발생한 카호우카 댐 붕괴 등을 감안하면 재건비용은 이미 5000억 달러를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복구비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운송과 관련한 인프라 복구가 921억달러 가장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어 주택(686억달러), 에너지 및 자원채굴(470억달러) 등의 순으로 예상되는데, 이 세 부문만 합쳐도 전체 복구비용의 51%로 가장 크다.
시기별로는 향후 3년간 들어갈 비용이 1280억달러, 그 이후 2033년까지 들어가는 비용은 282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수혜는 누가 볼까. 우크라이나 정부는 향후 재건사업 참여와 관련해서 “위험을 무릅쓰고 우크라이나에 먼저 들어오는 기업에 보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무기 지원 등 국가별 기여도를 따져 해당국가 소속 기업들에 차등적으로 재건사업 참여 기회를 줄 것이란 의도도 숨기지 않고 있다.
이런 기준에 따르면 한국은 우선순위 안에 들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 7월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해 재건사업 참여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힌데다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우호적인 국가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의 재건사업 참여 규모는 대략 520억달러로 전체의 10%를 약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규모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한국 정부에 제안한 약 200억달러 규모의 5000개 재건 사업리스트와 민간 차원에서 추진 중인 320억달러를 합친 것이다.
전쟁은 당사국들의 입장에서 보면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오가는 참담한 비극이지만, 동시에 주변국들 입장에서는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 일본이 전후 경제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데는 한국전쟁이 큰 기여를 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으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전쟁으로 사상자수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전후복구에 따른 이해득실을 따지는 현실이 잔인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