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30713500088
금통위 금리 동결 ② 증권가

한미 금리차 ‘2%p’ 기정사실화…“증시 영향 크지 않아”

글자확대 글자축소
임종우 기자
입력 : 2023.07.13 10:18 ㅣ 수정 : 2023.07.13 10:18

한은 금통위, 지난 2월 이후 4회 연속 ‘3.5%’ 동결
이달 FOMC 인상 유력…한미 금리차 ‘2%p’ 확실시
자금 유출 우려 확대…전문가들 “증시 영향 제한적”

image
여의도 증권가. [사진=뉴스투데이DB]

 

[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증권가 전망대로 이달 국내 기준금리가 동결됐다. 시장에서는 한미 금리차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져 자본시장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증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한은 금통위)는 1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국내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0%로 결정했다. 올해 2월 회의에서 현재 금리를 유지한 이후 지난 4·5월에 이어 4회 연속 동결이다.

 

금융투자업계는 향후 금통위가 많으면 한 차례 정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당분간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고 있다.

 

우선 국내 물가 상승세가 한은의 가정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주된 물가 상방 압력으로 거론됐던 전기요금은 3분기 동결됐으며, 정부가 직접 라면값 인하를 언급하는 등 정책적인 압력도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4일 발표된 국내 6월 CPI는 전년 대비 2.7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21년 9월 이후 21개월 만에 2%대 수준이다.

 

또 최근 들어 발생한 새마을금고발 유동성 불확실성에 기저 리스크로 여겨지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가 확대된 점도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막는 요인 중 하나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물가 안정 차원의 고금리 정책 유지 필요성을 고려하더라도, 현 정책금리 수준은 경기에 부담스러운 측면이 부상할 것”이라며 “장기간 유지하기에는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안정 측면에서 금리 조정을 통한 변동성은 예측 불가능성을 자극할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다양한 금융기관에서의 파열음이 이를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시장의 눈길은 오는 25~26일(현지시간)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 쏠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만큼, 한미 금리차의 추가 확대도 기정사실이 되고 있다. 한미 금리차가 벌어질 경우 원화 약세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날 기준 시카고상업거래소(CME)가 운영하는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이달 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1bp=0.01%p) 인상될 확률은 94.2%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동결 확률은 5.8%에 불과하다.

 

연준이 이달 FOMC에서 25bp를 인상할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가 되며, 한국과의 금리차는 역사상 최대 격차인 2%포인트까지 벌어지게 된다.

 

다수의 연준 위원들이 매파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현 금리에서 추가 2회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계속되면서 한미 금리차가 최대 2.25%포인트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지난 밤사이 미국의 6월 CPI 상승률이 시장 전망치(3.1%)를 0.1%포인트 밑돈 3.0%으로 나타나며 연준의 과도한 긴축 우려는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번 CPI 발표 전 페드워치는 오는 9월과 11월 FOMC 이후 미국 기준금리가 5.50~5.75%가 될 확률을 각각 20.3%와 35.8%로 제시했는데, 발표 이후에는 각각 13.2%와 25.6%으로 줄어들었다. 게다가 오는 11월에는 5.75~6.00%까지 인상될 확률도 5.9%로 추측했는데, 이 역시 발표 이후 2.4%로 감소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과잉 긴축 우려가 완화되면서 간밤 역외 원·달러 환율이 17원가량 급락했다”며 “미국 시장금리도 하락한 만큼 국내 증시에선 외국인의 긍정적 수급 여건 하에 금리 상승에 부정적 민감도가 높았던 성장주 주가 탄력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예상했다.

 

한 연구원은 “이번 금통위는 금리 결정보다 어느 정도 수위의 매파적 동결을 할지 여부가 채권 시장 및 외환 시장 경로를 통해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창용 한은 총재 발언에도 주식시장의 관심이 모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한미 금리차 확대가 주식을 비롯한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환율 변동성이 완화되고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도 급격히 유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연준 긴축 불안이 국내로 전이되는 이유는 한미 금리 격차가 초래하는 환율 변동성 때문”이라며 “지난해 10~11월 한은 빅스텝 인상 당시 환율 변동성이 컸던 것은 연준 긴축 불확실성과 레고랜드 사태에 따른 국내 유동성 경색까지 겹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지금 두 가지 현안이 다 해결됐다고 볼 수는 없으나 우려는 덜하다”며 “연준 긴축 불안은 연장됐지만, 그 당시와 비교해 속도에 대한 우려가 소멸했고, 최종 기준금리 수준도 대략 예상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또 금리차에 따라 외자조달비용이 오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국내 투자자들의 환헤지(환율 위험 회피) 전략이 더 공고해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외금리차 역전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자본유출에 대한 막연한 우려를 갖기보다는 외자조달비용 상승에 대비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한 시점으로 보인다”며 “외자조달을 위한 해외채권 발행시 국제금리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특히 거주자의 해외증권 투자 시 환헤지를 위해 외환스왑시장에서 외자를 조달하는 경우, 과거와 달리 외자조달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 환헤지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