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30705500193

전국으로 뻗는 지방은행···5대 은행 긴장할지는 미지수

글자확대 글자축소
유한일 기자
입력 : 2023.07.08 07:10 ㅣ 수정 : 2023.07.08 07:10

5대銀 과점 깨기 위해 지방은행 투입
연내 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 유력해
영업 확대·신용 상승 이점 기대 전망
체급 차이 커 당장 판도 변화 미지수
중장기적 효과에 초점···“지방 수혜”

image
[사진=DGB대구은행]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금융당국이 이른바 5대 시중은행 중심의 과점 체제를 깨기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적극 추진한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DGB대구은행으로 이르면 연내 ‘6대 시중은행’ 체제로 은행권이 개편될 전망이다. 

 

약 31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탄생하면 경쟁 촉진으로 금융 소비자들의 선택지도 다양해질 것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기대다. 다만 대형 은행들이 뿌리내린 수도권 침투 성공 여부와 체급 차이 극복 등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3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 뒤 약 4개월 만에 내놓은 방안의 핵심은 ‘공정하고 실효성 있는 경쟁 도입’이다. 

 

이번 방안 중 가장 관심을 끄는 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다. 지방에 거점을 둔 시중은행이 출현하면 기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 중심의 경쟁 구도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구상이다. 

 

현재 시중은행 전환 의사를 밝힌 건 대구은행이다. 금융위는 정식 신청이 들어오면 신속한 인가 검토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구은행의 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원론적인 수준에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은행의 올 1분기 말 기준 자본금은 6806억원으로 시중은행 인가 조건(1000억원)을 충족한다. 지분은 모회사인 DGB금융지주가 100% 갖고 있다. DGB금융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8.78%)으로 산업 자본이 4% 이상의 지분을 가질 수 없는 지배구조 요건도 맞출 수 있는 상황이다. 

 

대구은행이 신청서를 내고, 금융당국이 최종 인가를 내주면 1992년 평화은행 이후 약 31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탄생하게 된다. 약 6년 전부터 케이·카카오·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장이 나오긴 했으나 오프라인 지점 없이 비대면으로 영업하는 형태다. 

 

시장의 반응은 ‘기대 반 우려 반’이다. 일단 금융당국의 지원사격으로 지방은행 영업 네트워크 확대가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 시중은행으로서 조달금리 측면에서의 이점을 챙길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보통 채권 시장 평가에 따라 다른데, 같은 신용도를 가졌어도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조달금리를 적용받고 있어 불리하다”며 “비용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건 사실이고 대구은행도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다만 해소해야 할 우려도 적지 않다. 금융당국의 의도대로 경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체급 차이를 극복해야 하는데, 당장 영업 규모나 여신 잔액에서 지방-시중은행간 격차가 크다. 시중은행 전환 이후 공략할 지역도 제한적이라 성장 속도가 더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기준 대구은행의 국내 지점은 147개로 국민(776개)·신한(620개)·하나(542개)·우리(674개) 등 경쟁해야 할 시중은행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 여신 잔액도 시중은행은 200조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대구은행은 약 51조원으로 4~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규모의 경제’가 강하게 작용하는 은행 산업 특성상 영업망을 넓혀야 외형 확대가 가능하지만, 수도권은 시중은행들이 절대적으로 강세다. 전남·전북 지역도 JB금융그룹 산하 전북·광주은행의 텃밭이다. 대구은행의 추가 진출 지역으로는 충청도와 강원도 정도가 거론된다. 

 

한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이미 시중은행들끼리도 고객을 뺏고 뺏기는 상황인데 새로운 은행(지방은행)이 나와서 두각을 드러내려면 금리 우대라든지 비용적 요인의 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다”며 “가장 문제는 자칫 지방과 시중의 중간에서 애매한 포지션으로 정체성을 잡지 못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이후 인프라를 넓혀가는 과정에서 지역 경제 기여도 약화에 대한 지적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지역 소재 기업과 성장한 지방은행이 시중은행으로 보폭을 넓힐 때 지역 점유율 방어가 병행돼야 하는 점도 과제로 꼽힌다. 

 

한 지방은행의 관계자는 “대구은행의 경우 지방은행 중에서도 지역 금융 점유율이 높은 편”이라며 “iM뱅크(대구은행 뱅킹앱)로 전국 영업을 선제적으로 넓혀간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주로 돈을 번 지역도 계속 챙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에 대해 ‘중장기적 효과’를 강조했다. 체급 차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본금이나 건전성 제고 등의 효과가 나오고, 결국 지방이 입는 수혜도 늘어날 것이란 얘기다. 인가 원칙 변화로 기성 은행들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대구은행에 이어 ‘제7의 시중은행’에 도전장을 낼 지방은행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BNK금융그룹(경남·부산은행)과 JB금융그룹(전북·광주은행)은 산업 자본이 최대주주로 올라 있어 지배구조 요건을 충족하지 못 한다. 

 

그나마 제주은행이 자본금(약 1606억원)과 최대주주(신한금융그룹 75%) 요건을 충족했지만, 제주 지역에 밀집한 영업망과 실효성 등으로 시중은행 전환 추진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