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벌어진 예대금리차···은행권 ‘이자장사’ 논란 가열될 듯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최근 은행권 ‘돈 잔치’ 논란 중심에 있는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 차이)가 다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초부터 시작된 시장금리 하락에 대출금리가 내려갔지만, 정기예금 금리 역시 큰 폭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이자 장사 비판과 함께 예대금리차 축소에 대한 압박도 거세질 전망이다. 은행권은 대출금리 추가 인하 등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서면서 단순 ‘줄 세우기’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1일 전국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이 올 1월 취급한 가계 예대금리차 평균은 1.26%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0.92%p)보다 0.34%p 상승한 수치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지난해 12월 0.65%p에서 올 1월 1.56%p로 대폭 확대됐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0.85%p→1.13%p), 신한은행(0.91%p→1.01%p), 우리은행(1.30%p→1.34%p) 역시 예대금리차가 벌어졌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1월 들어 법인고객의 단기성 예금 비중이 늘면서 평균 예금금리는 낮아진 반면, 담보대출 대비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취급이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며 “1월 말 시행된 가계대출 금리 인하 효과는 2월 예대금리차 공시에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은행이 이익을 많이 남겼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예대금리차가 예대마진으로도 불리는 이유다. 특히 고금리 국면이 지속되면서 예대금리차가 벌어진 은행은 이자 장사 비판에 휩싸이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예대금리차 축소는 저축성 수신금리, 즉 정기예금 금리 상승이 견인했지만 올 1월 정기예금 금리가 급락하면서 예대금리차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대출금리 역시 내림세를 보였지만 정기예금 금리 하락분을 상쇄하긴 역부족이었다.
실제 지난해 12월과 올 1월 은행별 저축성 수신금리는 ▲국민은행 4.44%→3.72% ▲신한은행 4.39%→3.97 ▲하나은행 4.50%→3.89% ▲우리은행 4.43%→3.98% 등으로 일제히 3%대까지 떨어졌다.
1월 예대금리차가 다시 벌어지면서 은행권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최근 금융당국은 물론 윤석열 대통령과 정치권까지 나서 은행권 금리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예대금리차 확대가 수치로 증명된 만큼 대출금리 추가 인하 요구 명분도 더해졌다는 평가다.
은행들이 기준금리 상승에 기댄 손쉬운 이자 장사로 막대한 이익을 거두고 있다는 게 정부의 인식이다. 시장의 기준이 되는 준거금리에 높은 가산금리를 더한 대출금리 책정으로 가계 이자 부담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대형 시중은행 중심의 과점 체제 역시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예대금리차가 계속 확대되면 ‘이자 폭리’ 낙인이 찍힐 수 있는 만큼 은행권도 대책 마련에 나서는 분위기다. 정기예금 금리 인상과 함께 가산금리 인하 및 우대금리 확대를 통한 대출금리 인하 효과 유도 등이 거론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이달 주택담보대출(주담대)가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다음 공시될 예대금리차는 다시 축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그래도 은행을 향한 비판 여론이나 고통 분담 요구가 커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관련 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정책 상품이나 중저신용 대출은 금리가 높아도 대출 문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 수치(금리)들이 반영되면 예대금리차에 불리하게 작용한다”며 “은행권의 이 같은 노력들이 무시된 채 무조건 이자 장사로 비춰지는 건 바로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