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자 월평균 252만원 지출, 28.7% 생활비 줄여…현실과의 간극에 다시 일터로
[뉴스투데이 이철규 기자] 우리나라 50대 이상 퇴직자들은 매달 252만원을 지출했으며 28.7%가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후자금을 위해 퇴직자 중 절반은 재취업이나 창업을 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직장인에게 은퇴는 또 다른 생존을 위한 경쟁의 시작인 셈이다.
하나금융그룹은 ‘100년 행복연구센터’ 개소를 기념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생애금융보고서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을 11일 발간했다. 이는 지난해 11~12월 서울 등 수도권과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50~64세 남녀 퇴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다.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이 조사한 응답자들의 절반은 ‘4말5초’(40대 후반 50대 초반)에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이 재취업을 하지 못할 경우, 국민연금을 받기되는 나이까지 12~15년 동안 소득이 전혀 없는 ‘소득 제로’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에 설문에 응답한 퇴직자 중 28.7%가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으며 월평균 252만원을 쓴다고 응답했다. 또한 편안한 생활수준을 영위하기 위해선 한달에 400만원 이상 필요하다고 봤으며 200만~300만원은 ‘남한테 아쉬운 소리 안하고 먹고 살 정도’라고 응답했다.
때문에 퇴직자 중 절반(55.1%)은 재취업(37.2%)이나 창업(18.9%)을 했으며, 배우자의 경우도 절반 이상(58.6%)이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합할 경우 은퇴 후 가족이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비중은 84.8%로 높아졌으며, 이때 경제활동 수입은 평균 393.7만원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대한민국 퇴직자에게 노후준비는 아직 끝내지 못한 숙제인 셈이다. 이들이 노후를 대비해 이처럼 경제활동에 나서는 이유론 ‘자녀의 결혼비용(56.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외에 ‘앞으로 늘어날 의료비(71.7%)’와 ‘노후자금 부족(62.0%)’이 주 요인으로 꼽혔다.
퇴직자들은 여가활동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월 평균 14만원이며 일일 평균 2.6시간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퇴직자의 60.8%가 이전에 비해 여가시간이 비슷하거나 줄었다고 답했는데, 그 원인으론 비용부족(47.9%)과 시간부족(31.3%)을 꼽았다.
반면 퇴직자들 가운데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평가한 사람들은 전체 응답자 중 8.2%를 차지했는데, 이들이 노후걱정 없이 당당하게 퇴직할 수 있었던 비결을 다음과 같았다.
우선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평가한 사람들은 퇴직연금과 연금저축 같은 연금에 일찍 가입했다. 이들의 연금 가입률은 30대 초반에 이미 28.0%를 보였으며. 40대부터는 46.3%가 연금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했다. 반면에 노후준비가 안된 일반 퇴직자는 30대 이전에 연금 가입률이 20.4%이었고, 40대 후반에도 32.0%에 머물렀다.
또한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평가한 사람들은 4명 중 1명(26.8%)이 25세 이전부터 주식·펀드·파생상품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했다. 30대 후반부터는 절반정도(47.6%)가 투자금융상품을 활용했다. 그 덕분에 이들은 다른 퇴직자에 비해 투자관련 지식이나 정보수준에서 뛰어났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노후자금 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모았으며 ①금융회사 자산관리 설명회 ②친구·지인(智人) ③ 투자정보 도서 ④ 인터넷 등을 꼽았다.
이들의 92.7%는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 첫 주택 마련도 빨랐다. 절반 가까이(46.0%)가 35세가 되기 전에 첫 주택을 마련했다. 金퇴족은 주택연금을 비상 노후재원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평균적으로 72세에 월 174만원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부동산을 이용해 다양한 현금흐름을 조성했다. 이들의 72,0%가 주택 외에 부동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택(47.6%)>토지(25.6%)>상가(13.4%)>오피스텔(12.2%)의 순이었다. 이 때문에 이들은 경제활동을 포함해 금융자산, 임대소득 등 생활비 원천이 다양했다. 일찍부터 노후자금을 성공적으로 운용해 소득원의 분산을 이룬 셈이다.
이에 100년 행복연구센터의 조용준 센터장은 “퇴직 이후 전문적인 자산관리가 더 절실해진다”며, “이는 노후자금 관리부터 자녀결혼, 부동산 활용, 간병·상속에 대한 대비 등 다양한 이슈와 마주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