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끝나면 기조 달라질까…증권사 부동산PF, 위기감 재점화

황수분 기자 입력 : 2024.04.07 07:50 ㅣ 수정 : 2024.04.07 07:50

4월 위기설, 부동산 PF 경고음 더 커질까
정부, 위험한 수준 아냐… 불안감 여전해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그동안 총선 이후로 미뤄진 증권업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감이 재점화되고 있다. [이미지=freepik]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그동안 총선 이후로 미뤄진 증권업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감이 재점화되고 있다. 

 

PF 이슈는 총선이 이전까지 미뤄뒀거나 감춰진 부실들이 봇물 터지듯 터질 것이란 우려가 여전하다. 4월 위기설이 돌면서 금융당국은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우진 못하는 듯 보인다.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관련 건전성 지표가 전업권 통틀어 가장 높다는 것도 문제다. 특히 증권사들이 올해 감당해야할 잠재 리스크가 10조원을 넘어서면서 부실 관련 경고음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7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5000억원) 대비 3조3000억원(73.3%) 증가했다. 연체율도 같은 기간 3.35%포인트 증가한 13.73%로 금융권 중 가장 높다.

 

연체율이 높은 만큼 일부 대형사를 중심으로 조 단위 대손충당금(충당금)을 쌓을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실제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3개 증권사의 지난해말 충당금은 4조225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조954억원)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

 

증권사들의 충당 부채도 한 해 동안 4000억원 넘게 늘며 2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왔다. 충당 부채는 지출 가능성이 높은 부채다.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할 시 채권자가 대신 갚겠다고 보증을 선다.

 

증권사는 부동산 호황기 건설사·시행사에 보증을 서며 자금 조달을 도왔지만, 부동산 PF 시장이 침체되면서 그들의 부채를 떠안게 될 공산이 커진 상태다.  

 

문제는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잠재 부실 가능성이 더 크다는 거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증권사 29곳이 올해 감당해야 할 국내외 부동산 금융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10조3000억원에 달했다. 

 

익스포저는 금융사의 자산에서 특정 기업이 연관된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신용도 하락·채무불이행 등에 따른 경제적 손실위험에 노출된 금액을 의미한다.

 

중소형 증권사일수록 부동산 PF 관련 익스포저가 크다는 평가다. 중소형 증권사 20개사의 경우 총 3조4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익스포저의 만기가 도래한다. 

 

대형 증권사는 해외 부동산, 중소형 증권사는 국내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본 PF 익스포저가 가장 큰 난관이 될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권사들마다 충당금 규모나 부실 위험 수준들이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위험한 수준에 있는 것 같다"며 "총선 이후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춰둔 위험성이 터지게 될지 알 수 없어 불안감이 업계 깔려있다"고 설명했다. 

 

image
총선이 끝나면 숨어 있던 부실이 한꺼번에 드러난다는 게 4월 위기설의 주된 내용이다. [이미지=freepik]

 

현재 정부가 금융사 등을 동원해 일부 건설사의 부도를 일시적으로 막는 상황이다. 총선이 끝나면 숨어 있던 부실이 한꺼번에 드러난다는 게 4월 위기설의 주된 내용이다. 즉 선거를 앞두고 시장 혼란을 최소화해 혹시 모를 타격을 막은 뒤, 선거 이후엔 기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우려다.

 

2023년 법인체 감사보고서 제출 마감일이 4월 15일이라는 점도 4월 위기설을 뒷받침한다. 감사보고서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PF 부실이 한꺼번에 드러날 수 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가 진화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소폭 올랐지만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과거 위기 대비 연체율 및 미분양 규모 등이 낮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그간 건전성 강화 조치로 금융회사가 PF 부실에 대한 충분한 손실 흡수 및 리스크관리 능력을 갖추고 있고 정부도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 추진 중이다"라고 말했다. 

 

현대차증권이 지난달 낸 보고서 ‘총선 이후 부동산 PF 시장 전망’에서는 정부가 총선 이후부터 추가 지원책이 아닌 구조조정 관리와 거시경제로의 파급효과 차단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야 모두 부동산 PF 리스크의 근본적인 원인인 주택매매 수요침체에 대응해 수요 진작 정책을 펼친다는 전략이다.

 

앞서 지난 5일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시장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해 금융투자업계에서 합리적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수수료 및 금리가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감독원 황선오 부원장보는 지난달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2024년 금융투자 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에서 "부동산 PF, 해외 부동산 등 위험자산에 투자 비중이 높은 금융투자업계에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