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비용 부담에 횡령까지···경남은행, 수익성 악화 ‘겹악재’
경남은행 횡령 562억 중 환수 대상 375억
직원 소재 파악도 안 돼··“상황 좋지 않아”
피해액 환수 안 되면 모두 은행 손실 처리
건전성 악화에 충당금 부담 커지는 상황에
횡령 피해 손실 처리 시 이익 감소 불가피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BNK경남은행에서 발생한 500억원대 횡령 사태와 관련해 피해액의 상당 규모를 환수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사고 피해액이 손실 처리되면서 경남은행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다. 건전성 우려로 대손비용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 횡령 사태가 겹악재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경남은행에서 약 562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자금 횡령 사태가 일어난 가운데, 환수 대상은 은폐 목적의 일부 상환액을 제외한 약 375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경남은행 투자금융부 소속 한 직원은 2016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PF 대출 원리금 약 77억9000만원을 가족 계좌 등으로 이체했다. 이 돈 가운데 약 29억1000만원은 상환 처리했는데, 자신의 횡령을 은폐할 목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직원은 2021년 7월과 지난해 7월 PF 시행사(차주)의 자금 인출 요청서 등을 위조해 가족이 대표로 있는 법인 계좌로 약 326억원을 빼돌렸다. 앞서 은폐 목적의 상환액을 제외한 횡령 추정액(약 48억8000억원)에 법인 계좌 이체액을 더한 게 현재까지의 환수 대상이다.
이 직원은 지난해 5월 경남은행이 취급한 PF 대출 상환 자금 약 158억원을 상환 처리하지 않고, 자신이 담당하던 다른 PF 대출 상환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대한 조사 결과 횡령 사실이 밝혀질 경우 환수 대상액은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동안 은행권에서 발생한 횡령 사태의 환수율이 저조한 만큼, 경남은행 역시 환수 절차나 규모에 제한이 따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경남은행 측은 최대한 환수해 고객 피해를 방지하겠단 입장이지만, 아직 횡령 직원의 행방도 묘연한 상황이다.
경남은행의 한 관계자는 “수사기관에서 신병 확보를 노력하고 있고, 해당 직원 뿐 아니라 관련인까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 채권 보존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예금(횡령 이체액)이 없다면 다른 금융 자산을 통해 환수해야 하는데, 이 직원이 부동산 자산을 꽤 가지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횡령 등 금융사고에 대한 미환수 규모가 커지면 은행이 부담을 떠안게 된다. 피해액을 손실 처리하기 때문에 당장 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발생한 700억원대 횡령액 중 약 600억원을 올 1분기 손실 처리했다.
경남은행은 올 2분기 763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는데 이는 전분기(850억원) 대비 10.2% 감소한 규모다. 같은 기간 이자 이익(0.9%↓)과 수수료 이익(15.6%↓)이 동반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5.8% 줄어든 950억원에 머물렀다.
문제는 경남은행의 자산 건전성이다. 올 2분기 연체율은 0.32%로 전분기(0.33%) 대비 0.01%포인트(p) 내려갔지만, 1년 전(0.28%)과 비교하면 0.04%p 높은 수치다. 주요 시중은행이 0.2%대를 보이고 있는 걸 고려하면 관리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은행은 자산 건전성이 악화될수록 대손충당금 적립을 늘려야 하는데, 이는 회계상 비용으로 처리돼 이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한다. 경남은행은 올 1분기 293억원에 이어 2분기에도 294억원의 충당금을 전입했다.
현재까지 상황을 봤을 때 경남은행의 횡령 리스크는 장기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당사자의 소재 파악이 이뤄지지 않았고, 횡령이 워낙 장기간에 걸쳐 이뤄져 조사·수사도 길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경남은행 사례는) 횡령 직원이 소위 ‘잠수’를 탔기 때문에 상황이 무척 안 좋아 보인다”며 “이익 규모를 봤을 때 손실 처리에 대한 충격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은행과 그룹사인 BNK금융지주는 횡령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에 총력을 다 한다는 계획이다. 전담 조직을 신설·확대하고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쇄신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빈대인 BNK금융 회장은 “앞으로 지주사는 경남은행 사태 정상화 지원은 물론 그룹사 내부통제 시스템 전반을 점검하는 등 컨트롤타워로서 본연의 역할과 책임에도 결코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감독 당국의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그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