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12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이후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정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금리인상 속도보다는 고금리 레벨 및 유지기간으로 이동한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6일 보고서에서 “긴축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는 만큼 ’지표 악재=증시 악재‘ 논리가 적용되는 장세로 이행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전일 국내 증시는 매파적(긴축 선호) 12월 FOMC 결과 속에 중국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등 실물 지표 쇼크,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 변동성에 영향을 받아 하락(코스피 1.5%, 코스닥 0.9%) 마감했다.
이런 관점에서 전일 발생한 이벤트 결과들은 증시에 부정적인 환경을 조성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4분기 미국 성장률은 2%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호조가 시사하듯이 고용시장 역시 견조하다는 점은 경제의 양호함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한 단면일 뿐, 11월 산업생산, 12월 뉴욕 제조업 지수,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 등 산업경기가 큰 폭으로 훼손되고 있다는 점이 경기 침체 우려를 자극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더 나아가 11월 소매판매가 쇼크를 기록했다는 점은, 산타 랠리의 보편적 동인 중 하나였던 미국의 연말 소비 시즌 기대감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봤다.
한 연구원은 “12월 FOMC가 시장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매파적인 결과로 끝이 났다면, ECB 통화정책회의는 이를 넘어선 쇼크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이 또다른 불안 요인을 마주하게 만들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들 역시 금리인상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으나, 내년 3월부터 양적긴축을 단행하기로 했다는 점이 시장의 예상을 벗어난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현재까지 긴축은 충분치 않기에 예상보다 높게 금리 인상할 것이며, 연준보다 갈 길이 멀고 50bp 인상은 피벗이 아니라고 일축하는 등 강도 높은 메시지를 던진 상황”이라고 예측했다.
한 연구원은 "미국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 및 에너지 위기가 유발할 수 있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성격이었던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