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한국생산성본부 CEO북클럽 (2)] 성백린 단장의 백신론, "SK바이오사이언스는 후발 주자의 비애 겪는 중"

모도원 기자 입력 : 2022.03.18 11:13 ㅣ 수정 : 2022.03.18 11:13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17일 'CEO 북클럽'서 '바이러스와의 전쟁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강연
후발 주자의 비애 극복하려면 정부의 장기 프로젝트 지원과 적극적 규제 해소가 필수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이 17일 '바이러스와의 전쟁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있다. [사진=한국생산성본부]

 

[뉴스투데이=모도원 기자] 현재 우리는 2차 세계대전에서 잃은 목숨보다 훨씬 많은 인명을 코로나로 잃었다. 어찌보면 지금 인류는 코로나19와 3차 세계대전을 벌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WHO에 따르면 18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4억6275만8117명, 누적 사망자 수는 605만6725명이다.

 

코로나19는 지난 2020년 발생한 뒤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델타 바이러스, 오미크론 바이러스, 최근 델타 크론 바이러스까지 각종 변종을 낳으며 인류를 위협해왔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도대체 언제 끝나고 일상으로 되돌아 갈 수 있을지 그리고 또 다른 팬데믹의 도래 등에 대한 포괄적인 전망과 대책이 불투명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 한국생산성본부가 지난 17일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개최한 올해 두 번째 ‘CEO 북클럽’에서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은  '바이러스와의 전쟁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강연을 했다. 

 

■ "백신 개발 속도전 가능하려면 기존의 단계적 절차 무시돼야"

 

코로나 확산세가 거칠어지던 지난해 6월 G7 정상회담에서 각국의 정상들은 코로나 같은 감염성 질환이 다시 발생하게 될 경우 발생 100일 이내 사용이 가능한 백신 플랫폼 개발 합의안에 동의했다.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보다  더 빠른 백신 생산속도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혁신 테크놀로지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부분에 정상들이 합의점을 도출한 것이다.

 

그러나 속도전을 가능케하는 백신 플랫폼 개발은 또 다른 팬데믹을 대비하기 위해 필수이긴 하지만, 부작용과 생산 허브 부족 등 여러 이유로 개발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성 교수는 “백신은 효능과 안전성, 2가지 요소를 모두 갖춰야 하기 때문에 개발부터 출시되기까지 1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며 “여기에 신속성까지 갖추려면 임상 단계와 식약처 허가 등 단계적인 절차를 무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백신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와 같이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만큼 빠르게 백신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우세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 "SK바이오사이언스의 '프로틴 백신' 개발은 오랜 시간 걸려"/"비교 임상 끝나는 6월 경우, 자연 감염 확산으로 판로 확보 어려워"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확산의 초기인 2020년 4월 17일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범정부 지원단’을 발족했다. 현재까지 14차례의 회의를 거치며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추진했다.

 

성 교수에 따르면 각 부처는 각자의 위치에서 백신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협업을 해왔다. 외교부는 해외에서 개발된 백신을 수급하는 외교적 역량을 발휘했고, 질병청과 복지부는 백신 자체를 개발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다. 과학기술부는 기초 단계의 백신 개발을 추진했고 산업부는 백신 개발 이후의 생산 단계 관련 인프라 구축을 진행했다.

 

성 교수는 “범정부적으로 여러 부처가 함께 백신 개발이라는 목표를 위해 수고를 해왔다”며 “단시간 내 해외의 백신 개발 기술에 어깨를 견줄 수 있는 수준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한국에서 개발중인 백신 현황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상용화 일정이 가장 빠른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오는 6월 경 임상 3상을 끝내는 프로틴 백신이 있다”며 “해당 백신은 미국에서 개발된 백신 기술을 우리나라로 이전해와 상용화 개발을 추진중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제는 프로틴 백신 자체가 생산하고 상용화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더불어 임상이 끝나는 6월경에 이르러서는 이미 자연 감염에 의해 면역화가 저절로 이뤄질 것이라 전망되기 때문에 개발한 백신 판로의 확보 가능성 또한 불분명하다.

 

성 교수는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백신에 있어서 후발 주자다”라며 “그동안 원천기술 확보가 돼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코로나 백신 경쟁에서 뒤처진 상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와 같은 후발 주자의 비애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지 식약처가 고민한 끝에 내린 결론은 인허가 기준의 완화다”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백신을 개발하려면 수만 명을 대상으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지난해 한국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에 소위 ‘K-방역’이라 불리며 감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했지만, 백신 개발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환자 수 부족이 데이터 확보 부족으로 이어졌다.

 

이에 식약처가 고안해낸 방안이 '비교 임상'이다.

 

성 교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표준품으로 하고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백신을 동시에 사용해서 비교 평가를 하는 것이다”라며 “기존 백신 개발에 필요한 3만명이 아닌 5000명 정도에 백신을 사용해 실질적인 방어 효과를 보지 않고 백신을 맞은 뒤 생기는 항체가만 보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 항체가가 기존의 백신(아스트라제네카)이 가진 항체가에 비해 얼마나 우월성이 있느냐만 확인하면 백신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 "정권과 무관한 장기 프로젝트 추진해야 백신 패권 잡을 수 있어"

 

코로나19는 지난 2020년 발발한 뒤, 2년에 걸쳐 여러 종의 변이를 만들어냈다. 델타 바이러스,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이어 최근 델타 크론이라는 신종 변이까지 나왔다. 이에 일각에서는 변이가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관해 성 교수는 “바이러스 변화 속도를 쫒아가다 지치게 되면 결국 사람들은 소위 ‘범용 백신’ 개발로 눈을 돌릴 것이다”라며 “말하자면 하나의 백신으로 지금까지 나온 모든 변종을 예방 할 수 있는 백신 개발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 것이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이어 백신을 개발하는데 정부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정부의 고위 관료들은 신속 대응 기술이라 해서 말 그대로 신속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인 투자를 넘어 90% 이상의 눈에 보이지 않는 투자가 이뤄져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현재 세계는 바이러스와의 3차 대전을 치루고 있다”며 “백신 개발의 기술 패권을 잡기 위해선 장기 프로젝트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권 교체와 관계없이 10년, 20년 넘게 유지하고 추진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궁극적으로 감염성 질환에 대해 선제적으로 나갈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해야한다”고 말했다.  

 

성교수의 발표를 종합할 경우, 우리나라가 백신 선진국이 되는 길은 분명해 보인다.  SK바이오사이언스 같은 국내 기업의 백신개발 속도전에 장애가 되는 절차적 규제를 최대한 제거해야 한다. 동시에 정부가 백신개발에 관련된 장기 프로젝트를 수립해 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