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규 충남대 교수 "AI 급부상, 고용창출 핵심…정부·제계·학계 복합적 노력 필요"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AI(인공지능) 급부상에 따른 금융산업의 고용충격을 줄이기 위해 맞춤형 교육을 비롯해 정부와 경제계, 학계의 복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장호규 충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서에서 뉴스투데이가 주최한 ‘2024 굿잡코리아 포럼’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장 교수는 이날 ‘AI 시대와 일자리:금융산업 고용 영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AI(인공지능)가 급부상하며 금융산업의 디지털화는 더욱 가속화되면서 금융산업 직무 및 직업에 구조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 사람의 노동 생산성이 극도로 높아지고 중간관리자의 업무가 상당 부분 자동화되며 금융산업의 고용은 크게 충격을 받게 되었다”며 “금융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이미 시작됐고 한국에서도 시차를 두고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일반적으로 기술 발달은 단기적 실업 촉발과 장기적 신산업 등장, 새로운 직업의 등장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낳음으로써 고용 증대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AI의 급부상은 이 같은 일반적 경향성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장 교수는 고용충격을 줄이기 위한 정부와 경제계, 학계의 복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이미 진행되는 금융산업 디지털화로 기존 업무 중 중간관리자 업종의 고용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도 예상했다.
■ AI 시대, 금융디지털화가 금융산업 ‘고용’에 미치는 것은…은행권 중심 "고용 감소 지속"
장 교수는 디지털금융은 금융산업 고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사실 AI 시대는 갑자기 변모한 것이 아닌 약 10년전부터 시작했다. 온라인 대출 성행과 인터넷 전문은행이 나오고 결제도 혁명이 일어났으며, 블록체인의 등장과 자산운용사들을 중심으로 한 AI로 운영되는 공모 펀드 같은 것들도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을 고용시장으로 가져오면 신규 금융서비스가 창출되고 여러가지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다만 핵심은 어느정도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지다.
장 교수는 이해하기 쉽도록 은행권과 보험권, 증권업종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장 교수는 “은행권은 은행 업무가 디지털 금융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연적"이라며 "인터넷 전문은행은 임직원 숫자가 적고, 은행 업무는 전반적으로 디지털화되는 가운데 은행권에서 이미 고용에 악영향이 등장했다”고 말했다.
보험사의 경우는 “핀테크와 유사하게 인슈어테크(보험+기술)라는 개념이 있을 정도로 디지털화가 중요한 업권으로, 특히 생명보험은 현재도 많은 디지털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본사 임직원 수가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독립계약 에이전트와 보험 설계사 등의 고용에서 악영향이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증권사 업무 자체는 디지털화가 돼도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의견을 냈다. 그는 “증권사는 주요업무가 브로커리지(매매수익)·PI·기업금융(IB)·증권판매·PB·위탁운용(연기금·재단·법인 등)이어서 디지털화에 따른 업무변화가 적어 은행보단 어떤 변화가 닥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기존 경제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기술 발전에 따른 실업의 원리가 금융산업에도 공통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은행·보험사·증권사 할 것 없이 대부분 디지털화의 지수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장 교수는 “금융 디지털화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고용을 많이 감소시키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추세는 유지될 것”이라며 “더 큰 문제는 디지털 금융의 급속한 발전으로 금융산업에서 노동수요와 공급 간의 잠재적 불균형이 발생해 기술 발전에 대응하는 대학 교육 개혁이 늦어지면서 대학생들 사이에 지적 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우려했다. 결과적으로 금융산업은 약 26% 수준에서 노동시장의 변동을 겪을 것이란 분석이다.
■ AI 급부상, 고용 충격 완화 방안…"빅테크 기업들 정보 우위 완화하는 정책 필요"
AI 급부상에 따른 고용 충격 완화 방안도 다뤘다. 우선 장 교수는 디지털화와 AI에 의한 개인들의 생산성 확대로 중간 관리자 직무들이 많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이와 관련해 "중요한 것은 직원들이 디지털뱅킹 시대에 적응하고 성공하도록 관련성 있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지식 공유를 촉진하며 지속적인 학습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급부상에 따른 금융권 직무 미스매치 해결 방안으로는 △기술 평가 및 격차 분석 △목표교육 프로그램 개발 △내부 이동성 및 직무 순환 △교육기관과의 협업 △멘토링 및 코칭 △지속적 학습 문화 장려 △인정 및 보장 △피드백 및 평가 등을 꼽았다.
장 교수는 ”교육 기관과의 협업, 또는 지속적인 학습문화 장려를 통해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기술 등에 노출돼 그것을 적극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만들고 마지막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교육기관과의 협업만으로도 가능하지만 현재는 대학들이 이런 하이브리드 인력을 적극적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그런 인센티브가 없다는 의견도 제기했다.
장 교수는 또 ”대학은 대학 나름대로 인센티브가 없고, 금융기관에서는 이런 인력이 필요하지만 대학은 공급하지 않아 무척 난감한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정부와 금융기관, 대학이 삼위일체가 돼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로 제시했다
이어 ”당분간은 대부분 기업이 내부 직원들에 대한 트레이닝을 필요하게 될 거고, 특히 금융기관 및 제조업의 경우도 서플라이 체인(공급망)과 관련한 AI 지식을 충분히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빅테크에 대한 규제를 지목했다. 장 교수는 ”금융권 데이터들은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해서 빅테크들이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는데, 빅테크 기업들이 무분별하게 금융산업으로 진출해 독과점을 형성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빅테크 기업들의 정보 우위를 완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