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예탁금 이용료율 인상 '미미'...금리인상 코앞 이번도 통하나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이번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가운데 다수의 증권사가 예탁금 이용료율(이자) 인상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예탁금 이자를 올리진 않을 것이라는 게 증권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다수 증권사가 예탁금 이용료율을 인상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가, 업계의 동향을 살펴보고 내부적으로 고려해야할 부분이 있어 바로 적용까지는 애매해서다.
그간 증권사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국은행 등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 증권사들은 시장금리를 반영해 예탁금 이용료율을 높여왔다.
최근 국내 증권사들이 몇 개월 새 투자자 예탁금 이용료율을 속속 인상했지만, 신용융자거래 이자율에 비해 턱없이 낮아 이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 또한 지속돼왔다.
고금리 시대를 맞아 증권사들이 예탁금 이용료율을 조정하고 있으나 여전히 0%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곳이 많고, 인상을 아예 고려하지 않은 곳도 있어서다.
현재 국내 증권사 중 예탁금 이용료율이 가장 높은 곳은 토스증권이다. 그나마 토스증권이 지난 5월 고객예탁금 이용료율을 연 1% 수준으로 인상하면서 기존 증권사들에 영향력이 일부 미쳤다는 평가다.
토스증권 측은 이에 대해 고객 예탁금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포기하고 고객에 돌려주는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 미래에셋증권은 0.4%에서 0.6%로 올렸고 SK증권도 0.10%로 조정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1일 50만원(3개월 평균잔액) 이상 예탁금에 대한 이용료율을 기존 0.2%에서 0.3%로 인상했다.
메리츠증권은 위탁·저축·선물옵션·수익·신탁 대상 계좌로 예탁금 1, 4, 7, 10월의 둘째 일요일의 다음 첫 영업일에 지급한다. 계좌 폐쇄 시 최근 이용료 지급일부터 계좌 폐쇄 전일까지의 평균잔액을 적용해 지급한다.
앞서 지난달에는 키움증권이 0.2%에서 0.25%로, 삼성증권 0.25%에서 0.4%로, 한국투자증권 0.25%에서 0.4%, 하나증권 0.15%에서 0.25%, 교보증권 0.10%에서 0.40%, 다올투자증권은 0.3%로 각각 인상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6월 0.3%에서 0.5%로 높였다. KB증권은 지난 6월 말 0.42%에서 0.46%로, 지난 3월 신한금융투자는 0.1%에서 0.3%로 상향했다.
하지만 몇몇 증권사들은 2020년 예탁금 이용료율 조정 후 멈춰있다. 대신증권은 같은 해 8월 0.1%, 하이투자증권 5월 0.2%, 한양증권 7월 0.2%, 유진투자증권 7월 0.1%, 신영증권 5월 0.1%, IBK투자증권 5월 0.25% 등이다.
문제는 상승 폭이다. 국내 증권사들은 예탁금이용료율에 기준금리를 바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예탁금 이용료는 투자자가 계좌에 예치한 현금성 자산을 증권사가 증권금융 등에 예탁하면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으로 투자자에 지급하는 대가다.
이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증권사는 투자자 예탁금을 한국증권금융에 예치한 뒤, 한국증권금융으로부터 지급받는 수익금에서 인건비·전산비 등을 공제한 이후 이용료를 지불한다. 예탁금 이용료율은 증권사가 예탁금을 맡기는 기관의 금리 변동에 맞춰 정할 수 있다.
한국증권금융의 지난 6월 기준 신탁 운용 수익률은 1.791%로, 5월(1.621%) 대비 0.17%포인트 늘었다. 한국증권금융의 운용수익률 상승 폭을 고려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의 요율이라는 지적이다.
낮은 예탁금 이용료율과 대조적으로 증권사들은 신용융자거래 이자율을 속속 올리면서 빚투 이자율은 10%에 육박하고 있다.
지난달 신용융자거래 이자율을 올린 곳은 유안타증권(최고 9.9%)과 DB금융투자(9.7%), 하이투자증권(9.6%)이며 한양증권·키움증권·SK증권·신한금융투자(9.5%)는 최대 금리가 9%대 중후반을 넘었다.
이어 삼성증권·유진투자증권(9.3%)과 이베스트투자증권[078020](9.2%), 한국투자증권·교보증권·KB증권·다올투자증권(9.0%) 등 증권사들도 최대 9% 넘는 이자율을 부과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매번 기준금리 인상이 결정되면 내부적으로 검토 후 인상 여부와 폭을 결정하게 된다”며 “올해 이용료율을 올린 곳이 다수 있지만 이번에도 금리가 인상된다고 바로 올릴 것 같지는 않다. 산정 방식도 모호해서 투명성 있는 규칙은 어느 정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