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과 대기업 채용 급감에 N포세대 창업 늘어나...생존율 높이기가 과제
[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청년 취업난은 여전히 진행 중이고, 경기도 회복세는 아니다. 그래도 청년은 ‘활로’를 찾는다. 어디서 그 활로를 찾을까.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8월 기준 전체 고용률은 61.2%다. 그러나 같은 시기 청년 고용률은 45.2%로 작년 대비 증가했지만, 전체 고용률에 비하면 두드러지게 낮은 수치이다.
또 통계청이 발표한 연령대별 취업준비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취업준비자는 87만4000명이고, 그 중 약 88%인 76만8000명이 이른바 MZ세대로 일컬어지는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취업문은 일제히 좁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공공기관 알림 사이트인 알리오와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공기업 청년 채용규모는 2016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꾸준히 증가 추세였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인 2020년도 6833명으로 2019년도(9325명) 대비 약 28% 감소했다. 2021년도 2분기까지의 채용 현황에 불과하다. 이로 미뤄보아 올해 공기업 채용규모는 전년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기업쪽도 상황이 안좋기는 마찬가지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응답 기업 121곳 중 32.2% 뿐이었다. 10곳 중 7곳이 채용 계획이 없거나, 계획 수립을 안했다고 밝힌 것이다.
■ 청년 창업 전년 동기 대비 15.1% 상승… 그러나 창업 5년 후 10곳 중 7곳 문 닫아
청년 취업난은 오늘 내일의 이야기가 아니다. 88만원 세대, N포세대 등과 같은 호칭은 이제 상식이 되버렸다. 게다가 지금은 코로나19 등으로 가뜩이나 힘든 시기에 엎친 데 덮친 격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청년은 그대로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부동산업을 제외한 창업기업은 51만6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늘었다.
그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연령대는 30세 미만(8만780개)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15.1%나 증가했다. 그뒤로는 40대(13만2295개, 11.8%), 60세 이상(6만1223개, 11.7%), 30대(13만2295개, 11.6%), 50대(10만7002개, 7.7%) 순이었다.
그러나 창업이 만사형통은 아니다. 오히려 사업에 실패했을 경우 리스크를 부담하게 된다. 그리고 창업생존율은 긍정적이진 못하다.
중기부가 2021년 발표한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에 따르면, 2018년도 기준 국내 창업기업들의 1년차 생존율은 63.7%, 5년차 생존율은 31.2%이다. 창업을 해도 1년 뒤에는 10곳 중 4곳이, 5년이 지나면 7곳이 문을 닫는다는 뜻이다.
한국의 창업기업 생존율은 다른 주요 국가와 비교했을 때 저조하다. 다른 국가의 창업기업 5년차 생존율은 △미국 50.6% △프랑스 50.1% △핀란드 44.4% △영국41.8% △덴마크 37.0% △독일 36.5% 등이다.
‘고용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청년 창업은 생존율이 높아야 의미를 갖는다. 취업을 포기하고 창업을 선택한 청년들이 실패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궁지로 몰릴 수 있다.
■ 중기부 '청년정책과' 설립 등 청년 창업 지원 정책 강화 / 정부지원 받는 창업기업 생존율 높아져
중기부 등 정부 부처는 이런 ‘청년 창업’이 늘어나는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중기부는 올해 9월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청년정책과’를 신설했다. 직원들을 주로 20~30대로 배치하여, 청년의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펼치겠다는 취지이다.
지난 5월 중기부가 발표한 ‘청년 창업 활성화 방안’ 등을 본격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취지이다. 중기부의 발표에 의하면 정부 지원 사업에 참여한 창업 기업의 생존율은 1년차 92.5%, 5년차 57.1%로 기존의 1.5배에서 1.8배가 되었다고 밝혔다.
미래 세대를 짊어질 청년들의 비명은 국가 전반에 걸쳐 달갑지 않은 현상이다. 채용시장의 위축이 피할 수 없는 추세라면,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강화될 때 청년들의 비명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