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배달특급’ 3개월만에 자영업자 소득 최대 20억원 늘려
[뉴스투데이=이채원 기자]경기도의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서비스 개시 3개여월 만에 상당한 자영업자 소득증대 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 지역 자영업자들은 배달특급으로 주문을 받음으로써 20억원 안팎의 중개료를 절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뉴스투데이가 26일 배달특급의 누적 거래액을 기준으로 삼아 배달특급과 민간배달앱의 중개료를 비교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요컨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공정한 경쟁’을 기치로 내걸고 출범시켰던 배달특급이 상당한 ‘소득재분배’ 효과를 발생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빅3 배달앱이 중개료, 수수료 등으로 챙겨갔을 수익의 대부분이 영세한 자영업자들의 소득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 민간배달앱 이용했다면, 최대 20억 9000만원 비용지불...배달특급 이용해서 1억원으로 줄여
이런 변화가 가능한 것은 배달특급의 파격적 조건 덕분이다. 지난 해 12월 1일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중개 수수료 1%', '광고료 0원'이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반면에 배달 앱 빅 3 사업자의 수수료 체계를 토대로 분석하면, 치킨의 경우 배달앱 관련 비용이 최대 원가의 20.9%를 차지한다. 지난 해 10월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동주 의원(더불어민주당)측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받은 민간 배달앱 수수료 체계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 의원측은 치킨 브랜드인 노랑통닭의 원가를 기준으로 배달의민족을 사용한다고 가정, 분석했다. 가맹점주가 1만7000원짜리 후라이드 치킨 한 마리를 판매할 때마다 발생하는 배달 앱 관련 비용은 약 3550원(20.9%)에 달한다. 배달 앱 광고료 2%(약 330원), 배달 앱 중개수수료 6.8%(약 1155원), 결제수수료 3.3%(560원)와 배달 대행료 8.8%(약 1500원)등이다.
자영업자 입장에서 배달앱을 이용하면 매출 증대 혜택을 보는데 비해,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배달특급은 출시 100일째인 지난 11일 누적 거래액이 100억원을 넘었다고 밝혔다. 누적거래건수는 38만건이다. 배달특급 운영사인 경기도주식회사는 3월말까지 거래액 114억원, 누적거래건수는 44만건에 각각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영업자들이100억원 규모의 거래를 통해 지불한 수수료는 1억여원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배달특급의 중개료는 1%이고 광고료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에 100억원의 거래가 배달의민족을 통해 성사됐다면, 자영업자들은 최대 20억 9000만 의 배달앱 관련 비용을 지불해야 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측이 제시한 최대 비용 20.9%를 적용한 수치이다.
현재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되는 약 20개 공공배달앱 중에서 배달특급은 이용실적 면에서 선두이다. 공공배달앱 효시격인 군산지역 ‘배달의명수’는 이용자수가 감소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비해 배달특급은 경기도 지역화폐로 주문할 경우 10% 선 할인과 다음 주문 시 사용 가능한 5% 할인 쿠폰 등 최대 15%의 할인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유입을 늘렸다.
■ '가맹점 수' 및 '결제시스템 편리성' 강화해야 소비자의 관심 증대 돼
따라서 이 지사가 주장처럼 지역화폐를 활용한 보편적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경우 지역 자영업자들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역화폐로 재난지원금을 지급받은 소비자들은 민간 배달앱보다 배달특급을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배달특급을 외면하고 민간 배달앱을 이용한다면, 자영업자들은 혜택을 볼 수 없다. 배달특급 출범과 지역화폐를 활용한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은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절묘한 재분배 정책인 셈이다.
배달특급이 소비자들의 더 많은 관심을 받기 위해서는 '가맹점 수'와 '결제시스템 편리성'을 더 높여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반 소비자는 사적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배달앱을 선택할 때, 자영업자의 소득 증대을 고려대상으로 삼는다고 보기 힘들다.
배달특급이 수년간 기술력을 키워 민간 배달앱에 뒤지지 않는 ‘가맹점 수’ 및 ‘결제시스템 편리성’을 확보할 때, 지역화폐 특혜라는 한시적 조치 없이도 시장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