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확장 재정정책, 국내 은행·보험사 저금리 수렁 탈출 기대감
[뉴스투데이=박혜원 기자] 대규모 재정부양책을 발표한 바이든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하면서, ‘저금리’에 따른 자산운용에 어려움을 겪던 은행 및 보험업계에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은행업과 보험업은 코로나19 사태 속 대출 증가 및 손해율 개선 등의 요인으로 ‘반사이익’을 본 대표적 업종이다. 그러나 악화한 자산운용 환경으로 인해 ‘지속 가능성’ 측면에선 부정적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의 확장재정 정책에 힘입어 저금리 기조에 변화가 생기면 새로운 기대를 걸 수 있게 된다.
■ 바이든 공격적 경기부양 계획에 ‘국내 금리 인상’ 예측 나와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재정부양 계획을 발표했다. 4150억 달러 규모의 코로나 대응, 전 국민에게 1인당 1400달러 현금 지급 등을 통해 ‘고용·소비절벽’을 막고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공격적 경기부양책은 국내 경제에도 ‘호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미국의 경제회복이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촉발하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우리금융연구소는 지난해 미 대선 당시 발표한 국내 경제 예측 보고서에서 “바이든 행정부에서 경기부양책과 인프라 관련 재정지출 확대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하여 미 국채금리 상승압력으로 작용”한다면서 “미 국채금리와 상관관계가 높은 국고채 금리에도 상승 압력이 가중”한다고 밝혔다.
KB경영연구소 역시 “바이든 후보의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국고채 발행 증가, 경개 부양책 시행 등으로 국내외 금리 상승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며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 ‘저금리 고착화’에 자산운용 실적 악화한 은행·보험업계
국내 금융업계가 저금리 장기화에 ‘앓는 소리’를 낸 건 오래된 일이다. 금융사 수익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운용 수익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3월 1.25%였던 기준금리를 0.75%로, 5월에는 다시 0.5%로 내린 후 현재까지 동결하고 있다.
최근 은행·보험사 자산운용 실적을 보면 저금리에 따른 업황 불황의 현장을 체감할 수 있다.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를 통해서다. ROE는 기업이 자본을 통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ROA는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된 자산에서 얼마나 이익을 만들어 냈는지를 뜻한다.
지난해 3분기 주요 은행들의 ROA와 ROE는 일제히 하락했다. KB국민은행 ROA는 0.61%로 전년 동기 대비 0.14%p 떨어졌으며 신한은행은 0.57%로 0.11%p, 하나은행은 0.56%로 0.13%p 하락했다.
ROE 역시 국민은행은 9.89%에서 8.45%로, 신한은행은 9.62%에서 8.83%, 하나은행은 9.54%에서 8.00%로 하락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저금리 장기화가 아니라 이제 저금리 고착화라는 말이 통용돼 자금운용 수익이 악화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사태 속에 대출이 늘어나면서 은행권이 수혜를 입었다곤 하지만 정부의 만기연장이나 이자 상환 유예 조치 등으로 이자 수익이 크게 늘어났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전했다.
이 같은 사정은 보험업권도 마찬가지이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년 1~9월 보험회사 경영실적’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들의 ROA는 0.59%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나, ROE는 5.47%로 전년 동기 대비 0.26%p 하락했다. 그러면서 금감원은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영업여건 및 투자환경 악화 등으로 보험회사의 장기 수익성, 재무건전성의 동반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업계관계자 "국내금리 상승에 기여해 자산운용환경 개선 기대"
보험권 관계자는 “저금리가 고착화하면서 보유 채권을 매각하는 등 일시적인 이익을 내는 데 그치고 있다”며 “미국 재정정책이 국내 금리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산운용 환경이 개선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보험사는 코로나19 여파로 활동량이 줄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되는 등 실적 개선 효과를 누렸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국내 손해보험사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0.2% 늘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코로나 특수’일뿐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주지 않는다는 게 현장의 반응이다. 또 다른 보험권 다른 관계자는 “코로나19의 반사이익을 봤다는 평가도 있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하면 투자환경도 악화할 수밖에 없어 장기적으로 좋게만 볼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