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談] 재벌가 혼맥, ‘자유연애’가 ‘정경유착’ 눌렀다

이채원 기자 입력 : 2020.12.16 16:59 ㅣ 수정 : 2020.12.21 09:30

대기업 간 혼맥은 압도적 1위/, 과거 2위였던 '정경유착' 혼맥은 3위로 급락/일반가문과의 '자유연애' 혼맥은 2배 증가해 2위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이채원 기자] 국내 재벌가 자녀세대의 혼인 방식이 부모세대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대기업 오너 자녀와 정·관계 가문과의 혼인비율은 과거의 4분의 1수준으로 급락했다. 반면에 일반 가문과의 혼인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정경유착'은 소멸되는 추세인 반면에 '자유연애'는 급증하는 추세이다.

 

물론 대기업간 혼맥 사례는 부모세대보다 늘었다. 3가지 유형중 압도적인 1위이다. 요즘 재벌가 청춘들은 '유유상종'을 하거나 '자유연애'를 선택하는 게 대세인 셈이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의 사회풍속도였던 '정경유착' 혼맥은 멸종동물이 되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image
서민정 아모레퍼시픽 장녀 (위 첫 번째),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 (위 두 번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 (위 세 번째), 김대헌 호반건설 대표와 김민형 전 SBS 아나운서 (아래 첫 번째), 두산매거진 박서원 대표와 조수애 전 JTBC 아나운서 (아래 두 번째) 

 

1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55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경영에 참여했거나 참여 중인 부모와 자녀 세대의 혼맥(이혼, 재혼 포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17명 중 153명(48.3%)이 타 대기업 가문과 혼인했다.

 

이중 부모 세대의 대기업간 혼사는 46.3%(81명)였지만 자녀 세대에선 50.7%(72명)로 나타나 절반을 넘었으며 부모세대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비해 정·관계 집안과의 혼사는 부모세대가 28%(49명)를 차지한 반면 자녀세대에선 7%(10명)로 나타나며 크게 떨어졌다.

 

■ 정·관계 권력은 약화되고 자본의 힘은 커져? / 자본 간의 결합 대신 '연애감정' 선택도 눈길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는 “과거의 ‘정경유착’보다는 대기업간 혼인을 통한 ‘부의 대물림’이 심화했다”고 밝혔다.

 

대신 대기업이 아닌 일반 가문과의 결혼 비중은 자녀세대가 많았다. 부모세대가 12.6%(22명)이었던 반면 자녀세대는 23.2%(33명)로 나타났다.

 

기업인에 대한 정·관계 입김이 상당했던 과거와 달리 갈수록 영향력이 줄면서 혼맥의 필요성이 낮아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화그룹의 3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는 지난해 사내 연애를 통해 만난 일반인 정 모씨와 결혼했고, 셀트리온 서준석 이사도 올해 일반인 여성과 혼인했다. 

 

김대헌 호반건설 대표는 전 SBS 아나운서 김민형씨와,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올해 7월 교육자 집안의 여성과 혼인했다. 지난해 두산매거진의 박서원 대표는 전 JTBC 아나운서 조수애씨와 백년가약을 맺은 바 있다. 

 

이에 비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장녀 서민정씨는 10월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의 장남 홍정환씨와 결혼식을 올려 재벌가 혼맥을 이어갔다.

 

재벌가 혼맥은 GS그룹와 LS그룹이 각 8곳으로 가장 많았다. GS그룹은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해 세아, 태광, LIG, 벽산, 아세아, 삼표, 부방 등과 사돈이 됐다. 

 

LS그룹은 두산, 키스코홀딩스, OCI, BGF, 천일여객, 사조, 현대자동차, 삼표 등의 대기업과 결혼으로 연을 맺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