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가 혼맥, ‘자유연애’가 ‘정경유착’ 눌렀다
[뉴스투데이=이채원 기자] 국내 재벌가 자녀세대의 혼인 방식이 부모세대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대기업 오너 자녀와 정·관계 가문과의 혼인비율은 과거의 4분의 1수준으로 급락했다. 반면에 일반 가문과의 혼인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정경유착'은 소멸되는 추세인 반면에 '자유연애'는 급증하는 추세이다.
물론 대기업간 혼맥 사례는 부모세대보다 늘었다. 3가지 유형중 압도적인 1위이다. 요즘 재벌가 청춘들은 '유유상종'을 하거나 '자유연애'를 선택하는 게 대세인 셈이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의 사회풍속도였던 '정경유착' 혼맥은 멸종동물이 되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1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55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경영에 참여했거나 참여 중인 부모와 자녀 세대의 혼맥(이혼, 재혼 포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17명 중 153명(48.3%)이 타 대기업 가문과 혼인했다.
이중 부모 세대의 대기업간 혼사는 46.3%(81명)였지만 자녀 세대에선 50.7%(72명)로 나타나 절반을 넘었으며 부모세대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비해 정·관계 집안과의 혼사는 부모세대가 28%(49명)를 차지한 반면 자녀세대에선 7%(10명)로 나타나며 크게 떨어졌다.
■ 정·관계 권력은 약화되고 자본의 힘은 커져? / 자본 간의 결합 대신 '연애감정' 선택도 눈길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는 “과거의 ‘정경유착’보다는 대기업간 혼인을 통한 ‘부의 대물림’이 심화했다”고 밝혔다.
대신 대기업이 아닌 일반 가문과의 결혼 비중은 자녀세대가 많았다. 부모세대가 12.6%(22명)이었던 반면 자녀세대는 23.2%(33명)로 나타났다.
기업인에 대한 정·관계 입김이 상당했던 과거와 달리 갈수록 영향력이 줄면서 혼맥의 필요성이 낮아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화그룹의 3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는 지난해 사내 연애를 통해 만난 일반인 정 모씨와 결혼했고, 셀트리온 서준석 이사도 올해 일반인 여성과 혼인했다.
김대헌 호반건설 대표는 전 SBS 아나운서 김민형씨와,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올해 7월 교육자 집안의 여성과 혼인했다. 지난해 두산매거진의 박서원 대표는 전 JTBC 아나운서 조수애씨와 백년가약을 맺은 바 있다.
이에 비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장녀 서민정씨는 10월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의 장남 홍정환씨와 결혼식을 올려 재벌가 혼맥을 이어갔다.
재벌가 혼맥은 GS그룹와 LS그룹이 각 8곳으로 가장 많았다. GS그룹은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해 세아, 태광, LIG, 벽산, 아세아, 삼표, 부방 등과 사돈이 됐다.
LS그룹은 두산, 키스코홀딩스, OCI, BGF, 천일여객, 사조, 현대자동차, 삼표 등의 대기업과 결혼으로 연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