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전쟁사(44)] 그리스의 용맹한 스파르타 대대의 활약상은 명불허전(名不虛傳)

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입력 : 2020.07.24 16:49 ㅣ 수정 : 2021.01.08 10:11

스파르타 대대, 고대전쟁사의 찬란한 전통과 영광을 계승하여 용전분투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김희철 칼럼니스트] ‘명불허전(名不虛傳)’이란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필자가 중대장과 사단작전보좌관으로 근무했던 부대 인근에는 북정령과 승암고개 그리고  연천 313고지, 노리고지 등이 있었다. 이곳의 공통점은 6·25남침전쟁 시 그리스의 용맹한 스파르타 대대가 고대전쟁 역사의 찬란한 전통을 계승하여 맹활약한 전투지역으로 ‘명불허전(名不虛傳)’이란 사자성어의 의미를 증명했다. 

 
▲ 6·25남침전쟁시 1950년 12월4일 정의의 십자군으로 파한되어 용전분투하다가 1955년 12월11일 본국으로 개선한 그리스군의 참전기념비으로 여섯 장의 금색 동판에 주요 전력과 초대 ‘대령 요아니스 다스칼로플로스’를 위시한 역대 지휘관들과 ‘1951년 9월.27일 대위 크우소우코스’ 등 전사자 186명(참전비 건립 당시의 통계)의 성명과 전몰 일자가 새겨져 있다. [사진자료=국방부]
 

처절했던 6·25남침전쟁의 휴전 이틀 전까지 피흘리며 싸워 이 땅을 지켜낸 군대

 

그리스는 1944년 2차세계대전 종전으로 독일로부터 해방된 후 소련의 지원을 받은 그리스 공산주의자들의 폭동으로 내란에 휩싸였다. 그러나 1949년 미국의 지원으로 공산군을 몰아내고 6년 가까운 내전을 종식하였다. 이듬해인 1950년 한반도에서 공산군의 남침이 알려지자 그리스 의회는 6월29일 한국전 파병을 결정했다. 

 

지상군은 최초 3500여 명 규모의 여단급 부대 파병이 결정되었으나, 파병 준비를 하던 중 유엔군의 반격 작전으로 한국전의 사태가 호전됨에 따라 규모가 1개 대대로 축소되었다. 이 스파르타 대대는 1950년 12월 9일 부산에 도착하였다. 

 

도착 초기에는 미군 사단에 배속되어 전방 지역에서 예비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1951년 1월25일 ‘이천 381고지’에서 중공군과 치른 전투를 시작으로 각처에서 많은 격전을 치렀다. 그리스는 총인원 5532명의 군인과 8명의 여성 간호장교들을 참전시켰다. ‘연천 313고지 전투’, ‘노리고지 전투’, ‘북정령 전투’ 등을 치렀으며 휴전 직전까지 용감하게 싸워 우리 국토를 지켜주었다. 

 

또한 그리스 공군도 C-47기 7대로 구성된 13수송편대를 파병했다. 1950년 12월1일 일본에 도착한 이후 미 21비행대대와 미 6461수송대대에 배속돼 미 해병사단을 지원했다. 장진호 전투 등의 전사상자를 후방으로 후송하는 업무를 맡았다. 특히 장진호 남쪽의 하갈우리, 고토리 비행장을 활주로로 썼는데 강풍과 눈보라가 심해 보급품 공수와 병력 후송에 큰 고생을 했지만 작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리스군은 참전기간 중 전사 192명, 부상 543명, 포로 3명(국방부 통계)의 피해를 입었다.

 
▲ ‘대한민국의 자유와 영토보존을 위해 희생한 그리스 용사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표시’로 1974년 10월 3일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자유수호평화박물관에 전시된 그리스 대대와 6·25남침전쟁시 무명고지 방어중 휴식을 취하는 그리스군 모습 [사진자료=국방부]
 

 ■ 최초로 중공군과 치른 ‘이천 381고지 전투’

 

이천 381고지 전투는 1951년 1월 29~30일간 그리스의 스파르타 대대가 최초로 중공군과 치른 전투이며 미 1기병사단에 배속되어 중공군 112사단 334연대와 치열하게 공방전을 벌인 전투이다. 

 

스파르타 대대는 1951년 1월 25일부터 실시된 반격 작전에서 이천을 점령하고 북상 도중인 1월29일 381고지 일대에서 야간 기습 공격을 받게 되었다. 중공군은 대대 정면에서 381고지를 3차례에 걸쳐 공격하였으나, 이에 대대는 조명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포병 지원 사격으로 공격 부대를 제압하는 한편, 근접 전투를 전개하여 이들을 격퇴하고 381고지를 방어하였다. 

 

 ■ 피비린내 나게 처절했던 ‘연천 313(스카치) 고지 전투’

 

연천 313(스카치) 고지 전투는 1951년 10월 3~5일간 연천 북방 15km 지점의 313고지에서 중공군 141사단 및 140사단 예하 부대와 치른 전투이다. 

 

스파르타 대대는 당시 미 1기병사단에 배속되어 방어선을 개선하기 위한 제한적인 공격 작전에 참가하여 중공군이 점령하고 있던 313고지를 공격하였다. 10월 3일과 10월 4일의 2회에 걸친 공격에서 돌격 부대가 목표 지역까지 도달하였으나, 중공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사상자가 속출하자 일단 철수한 후, 10월 5일 항공 폭격과 포격의 지원하에 재차 공격을 실시하여 313 고지를 점령하였다. 

 

이 전투에서 대대는 전사 28명, 부상 77명의 피해를 입어 그리스군의 한국전 전투 중 가장 피린내 나는 전투로 기록됐다. 

 

 ■ 휴전을 앞두고 스파르타 정신으로 끝까지 고수한 ‘북정령 전투’ 

 

북정령 전투는 1953년 7월 15~26일간 스파르타 대대가 미 3사단에 배속되어 북정령 남쪽 승암고개의 주 저항선(김화 동북쪽 10km 지점)을 방어하고 있던 중 중공군의 마지막 ‘7월 공세’에 가담한 68군 예하 부대와 치른 전투이다. 

 

스파르타 대대는 적근산 서남쪽 고비목을 거쳐 7월15일 김화-금성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북정령 남쪽 구릉지대로 진출했다. 그날 밤부터 중공군의 포격은 시작되었고 진지 구축을 미처 끝내지 못한 그리스군은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계속 인원을 증원해 인해전술로 공격하는 중공군에 맞선 대대는 숨막히는 격전으로 간신히 새벽녘에 적군을 격퇴했다.

 

그러나 손상된 진지를 보강할 겨를도 없이 중공군의 주간 공격이 다시 시작됐다. 2시간30분 간의 격렬한 혈전 끝에 적군을 물리치고 작전지역을 국군 1기갑여단 1대대에 인계한 후 스파르타 대대는 북정령 남쪽 승암고개 일대의 532, 492고지 등 요충지에 재배치되었다.

 

휴전을 불과 3일 앞두고 또 중공군이 7월25일 대대가 배치된 고지에 포병 화력을 집중한 후 공격해왔다. 스파르타 대대는 한치의 땅도 양보할 수 없다는 전의로 중공군과 맞섰다. 결국 중공군이 영역을 넓히려는 의도로 7월 26일까지 계속한 마지막 공세를 끝까지 격퇴하며 고지를 지켜내고 7월 27일 휴전을 맞이하였다. 

 

당시 미군 연대장은 휴전을 앞두고 피해를 줄이려는 의도로 이 전투에 앞서 그 지역으로부터 철수를 종용하였으나, 그리스군 스파르타 대대는 철수가 미칠 심각한 영향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지원화력을 요청하면서 그 방어선을 끝까지 고수하였다. 

 

이 전투 결과 그리스군은 19명이 전사하고 28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나 적군인 중공군 150명을 사살하고, 27명의 포로를 획득하는 전과를 올렸다. 

 

때마침 그리스군 동측 인접 국군 11사단이 적근산 전투에서([김희철의 전쟁사](43) ‘청춘들의 출혈이 계속된 적근산 735(김일성)고지 전투(하)’ 참조) 승리하여 우측 고지지역을 지켜냈다. 

 

결국 이와 함께 스파르타 대대가 ‘명불허전(名不虛傳)’이란 말처럼 그 명성과 전통에 걸맞는 투지와 용맹하고 투철한 군인정신으로 북정령 고지를 사수함으로써 오늘날 승암고개와 그 후사면의 광활한 평야이자 곡창지대인 마현리는 휴전선 남쪽에 남아있게 되었으며 필자가 소·중대장 시절 그곳에서 마음껏 활보할 수도 있었다.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현재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 (알에이치코리아, 2016)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