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00605154100
뉴투분석

전기차 대세, 배터리업계 몸값 높였다…갑을 관계 역전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원갑
입력 : 2020.06.07 07:10 ㅣ 수정 : 2020.06.07 07:10

車-배터리 곳곳에서 ‘밀월’…업계 1위 테슬라는 내재화 박차 / 2023년 수요가 공급 초과

[뉴스투데이=이원갑 기자]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차량용 배터리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이차전지업체의 공장에 투자금을 쏟아 넣는다. 그마저 모자라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직접 만들기도 한다.

 
발주사인 완성차 업계와 납품사인 배터리사의 ‘갑을 관계’가 뒤바뀐 셈이다. 배터리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배터리 대란’이 5년내 찾아올 것이란 전망이다.
 
테슬라의 차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사진) 모습. 선주문 물량의 배터리 수요만 2019년 말 기준 주요 배터리 3사 생산능력의 72.95%를 차지한다. [사진제공=테슬라]

 

7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 시점이 급속도로 빨라지면서  자동차업계의 배터리 확보전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전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 통화에서 “어느 업체에 얼마나 납품을 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는 것은 어렵지만 완성차 기업들로부터 이미 받아놓은 물량이 많고 이들의 신차도 내연기관 차량보다 전기차 위주로 발표되기 때문”이라며 “유럽에서도 환경규제가 계속되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이 계속 커질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또 삼성증권의 최근 분석 자료에 따르면 모델S, 모델3, 모델X, 모델Y 등 당장 양산 중인 차량의 배터리 수요는 52.3GWh(기가와트시)인데 아직 양산이 시작되지 않은 사이버트럭의 사전예약 물량(78.4GWh) 등을 모두 합하면 총 수요는 178.4GWh, 연간 기준으로는 118.1GWh다. 생산능력으로는 세계 3대 배터리 제조사인 파나소닉, 삼성SDI, LG화학 등의 2019년 말 기준 생산능력을 전부 합쳐도 약 16% 모자란 수치다.

 

나아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오는 2024년을 배터리 공급 부족이 시작되는 해로 보고 있다. 2023년부터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량은 916GWh까지 늘면서 공급량 776GWh를 처음으로 넘어설 전망이다. 순수전기차 출하량이 2023년까지 3년간 141%(약 536만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전기차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완성차업계는 배터리가 없어서 차를 못 파는 사태를 피하기 위해 미리 움직이고 있다. 배터리 제조사와 합작투자를 벌여 공장을 세우거나 아예 거액을 들여 대규모 배터리 자체 생산 공장을 짓는 등 안정적인 배터리 조달을 위한 준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일본의 자동차업체인 토요타는 배터리 제조사 파나소닉과 1996년 니켈수소 배터리 합작법인 PEVE에 이어 지난 2월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을 위한 두 번째 합작법인을 출범시키기로 합의했다. 4월에는 중국의 배터리 및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와 전기차 연구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다.

 

지난해 12월에는 미국의 최대의 완성차 기업 GM이 우리나라의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합작 공장을 세우기로 하고 올해 4월 착공했다. LG화학은 지난해 6월 중국 국내 1위 완성차 업체 지리자동차와도 배터리 합작 법인을 세웠다. 독일 폭스바겐도 지난해 9월 스웨덴의 배터리업체 ‘노스볼트’를 선택해 합작 공장을 건립하기로 했다.

 

현대차도 글로벌 추세에 발맞춰 국내 배터리 3사 중 합작법인 파트너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베이징자동차와 합작 공장을 추진해 작년 12월 준공했다.

  

반면 전기차업계 1위 테슬라는 자신들의 폭발적인 배터리 수요를 맞추기 위해 대규모 배터리 자체생산 공장을 열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예정됐다가 이달로 연기된 ‘배터리데이’ 기자회견에서 공개될 것으로 알려진 사항은 신규 배터리공장 ‘테라팩토리’ 계획과 중국 배터리사 CATL과 공동 개발한 신형 배터리 등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합작법인 설립이든 자체 공장 설립이든 물량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며 “배터리 사업은 워낙 기술 집약적이어서 긴밀한 협력 없이는 제대로 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고, 공급계약만으로 배터리 생산량을 컨트롤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