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준 ETRI 원장, “ICT 기술 융합 등 과학기술로 미래 국방 준비해야”
“국책 연구기관 협의회 만들고 국방 연구개발 협업 체계 강화해야”
“정부 ICT R&D 예산 1조원 가운데 더 많이 국방으로 전환시켜야”
[뉴스투데이=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역자원 부족을 ICT 기술 융합으로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전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어 과학기술로 미래 국방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6일 김명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은 서울 구로구 쉐라톤 디큐브시티 호텔에서 열린 ‘육군 정보화발전 세미나’에서 특별 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육군본부가 주최한 이날 세미나는 ‘4차 산업혁명, 초연결·초지능화된 첨단 과학기술군’이란 주제로 진행됐다.
김 원장은 강연 서두에 “산업혁명, 정보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연결되는 지능혁명이 현재 진행 중”이라면서 “우선 서욱 육군참모총장께서 언급한 AI-ICBM(IoT·Cloud·Bigdata·Mobile)에서 모바일은 신기술이 아닌 현재 기술이므로 ABCI(AI·Bigdata·Cloud·IoT)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ICT 기술은 미래전쟁의 주요한 수단이므로 ICT 기술혁신을 국방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키지 못한 국가는 미래 전쟁의 수행 주체가 될 수 없다”면서 “장기적 기반 조성이 아니라 당면한 수요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ICT 신기술을 국방에 도입하기 위해 2015년 실리콘밸리에 ‘국방혁신실’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한국은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역자원 부족 현상이 심화돼 육군의 경우 2025년까지 12만 명 정도 감소하는데, 이를 ICT 기술 융합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신기술들이 등장해 전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므로 과학기술로 미래 국방을 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과학기술 기반의 자주국방 역량을 확보하려면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ETRI 등 주요 국책 연구기관들의 협의회를 만들고, 협의회를 중심으로 국방 연구개발(R&D) 협업 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2018년 8월부터 금년 5월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미래 국방 R&D를 위해 무인화, 국방소재, 센싱, 초연결, 생존성, 에너지무기, 미래동력 및 추진, 초지능 등 8대 분야가 선정됐다. 이에 ETRI는 기존의 국방 ICT 연구센터를 국방 ICT 연구단으로 바꿔 국방 분야 R&D 역량을 강화하면서 국방 R&D기관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원장은 “5G·AI 기반의 초실감 훈련체계, 초지능 무인 감시경계 시스템, 첨단기술 융합 전사자 유해발굴 시스템 등 ETRI의 강점인 초지능·초성능·초연결·초실감 기반의 국방핵심원천기술을 융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년 7월 ETRI는 육군과 AI, 초연결·모바일, MOVES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 연구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과기정통부 예산으로 국방 ICT 융합기술 과제를 육군과 공동 기획 중이며, 방위사업청 예산으로 상용 신기술을 무기체계에 적용하는 ACTD(신개념기술시범) 사업도 공동 제안한 상태다.
김 원장은 “2008년 ETRI 기획본부장 시절 ADD와 협력을 시도했으나 잘 안됐다”면서 “당시 국방 R&D에 돈이 많은 줄 알았는데 대부분 무기체계 개발로 들어가고 일부만 대학과 민·군 겸용기술에 배정돼 연구비가 별로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 ICT R&D 예산이 1조원인데, 더 많은 예산을 국방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말해 박수를 받기도 했다.
김 원장은 이날 세미나 강연을 통해 ‘미래사회를 만들어가는 국가 지능화 종합 연구기관’이란 ETRI의 비전도 소개하면서 “초지능·초성능·초연결·초실감·국가지능화융합기술 등 5개 기술분야의 연구가 ETRI의 주요 역할”이라고 강조했다.